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 작사가 반야월... 다시 보는 '소양강 처녀' 노래비 본문

🙆‍♂️ 시사 & 인물 & 인터뷰

* 작사가 반야월... 다시 보는 '소양강 처녀' 노래비

Ador38 2012. 11. 8. 11:00

 

'소양강 처녀' 노랫말을 지은 가요 작사가 반야월(半夜月, 1917년 8월 1일 ~ 2012년 3월 26일)별세하여, 전국 신문과 방송에 고인을 회고하는 기사와 사진이 소개되고 있습니다. 동아일보가 춘천 소양강변에 있는 '소양강 처녀' 노래비(황재국 동문 글씨)의 사진을 곁들인 기사를 게재하였기에 소개합니다.

 

♣ ♣ ♣

소양강 처녀’로 향수 달래주고… ‘아빠의 청춘’에 시름 잊게하고…

■ 명곡 5000여 곡 작사 반야월 별세

 

>(위)강원 춘천시 소양교 부근에 있는 ‘소양강 처녀’ 노래비와 (하단 왼쪽)이 노래 가사 전문,

>2006년 ‘가수의 날’ 기념식에서 특별상을 수상한 반야월(하단 오른쪽).동아일보DB

 

‘울고 넘는 박달재’ ‘단장의 미아리고개’ 등의 노랫말로 사랑받아온 가요 작사가 반야월(본명 박창오) 씨가 26일 오후 3시 20분경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5세.

고인의 셋째 딸인 가수 박희라 씨(59)는 “오늘 아침에 아버지와 마지막 통화를 했는데 ‘몸이 아프다. 앞으로 내가 하던(가요) 일을 잘 이어서 해라’라고 하셨다”고 전했다.

1917년 경남 마산에서 태어난 고인은 진해농산고를 수료한 뒤 태평레코드사에서 주관한 콩쿠르에서 입상하면서 가요계에 발을 디뎠다. ‘진방남’이란 예명으로 1938년부터 태평레코드사 전속 가수로 활동하면서 ‘불효자는 웁니다’ ‘꽃마차’ 등을 불러 히트시켰다.
1942년부터 노랫말을 지으며 ‘반달’을 뜻하는 반야월(半夜月)이라는 예명을 쓰기 시작했고 광복 이후에는 주로 작사가로 활동했다.

분단의 비극과 6·25전쟁이 찾아오자 전쟁의 참화에 고통 받던 국민에게 그는 ‘울고 넘는 박달재’ ‘단장의 미아리고개’ 등 완성도 높은 노랫말을 선사하며 민족의 애환을 나눴다. ‘산장의 여인’ ‘소양강 처녀’ 등 5000여 곡의 노랫말이 그의 펜 끝에서 나왔다. 1999년 별세한 작곡가 손목인과는 ‘아빠의 청춘’ ‘여자의 일생’ ‘유정천리’ 등 여러 히트곡을 함께 내놓으면서 명콤비로 불렸다.

최규성 대중문화평론가는 “반야월 선생은 대중가요에서 작사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린 선구자였다. 당대의 시대적 상황을 녹여내 대중 사이에 공감대를 형성하는 탁월한 노랫말을 지었다”고 말했다. 요즘 젊은 뮤지션들이 자기 일상을 노랫말에 녹이는 사례가 많은데, 고인은 일찌감치 이 같은 작가주의적 작사를 보여줬다는 평가다.

한편으로 그에게는 그림자도 있었다. 데뷔 이후 나라 잃은 민족의 설움을 위로하는 노래로 사랑받았지만 일제강점기 말엔 친일 가요인 ‘소년초’ ‘결전 태평양’ ‘일억 총진군’ 등을 불러 오점을 남겼다. 2010년 그는 “친일 군국가요를 부른 것을 매우 후회하며 국민께 사과 드린다”고 말했다.

최근까지도 그는 왕성한 창작열을 불태웠다. 2005년에는 67년 음악인생을 정리하는 920쪽 분량의 회고록과 신곡 ‘스카라 계곡’을 발표했다. 이 곡에는 ‘가요인의 거리’로 불렸던 서울 중구 인현동 이야기를 담아냈다. 당시 고인을 만난 최 평론가는 “지팡이에 의지해 걷고 귀가 좀 안 들린다는 것 외에는 젊은이 같은 열정을 지닌 ‘평생 예술가’였다”며 “가요계 원로들을 물심양면으로 도와온 그가 오랫동안 ‘원로들의 원로’로 남으리라 예상했는데 비보를 접하게 돼 안타깝다”고 말했다.

2008년에도 ‘꿈꾸는 청계천’ ‘그리운 제2고향’ 등 10편의 노랫말을 발표했고, 이듬해 ‘박달재 사랑’ ‘나의 별’ 등을, 지난해 아들 박인호, 딸 박희라 씨가 작곡한 ‘오이도 사랑’을 작사하며 현역으로서의 열정을 과시했다. 고인이 회장으로 있던 한국전통가요사랑뿌리회의 전영월 사무총장은 “선생님은 23일까지도 사무실에 출근했으며 가수로서 발표했던 옛 LP음반들을 CD로 복각하기 위한 미팅을 오늘(26일) 잡아놨었다”며 더는 말을 잇지 못했다.

고인은 전국에 가장 많은 노래비가 세워진 인물로 기록되기도 했다. 1993년 ‘내 고향 마산항’을 시작으로 ‘단장의 미아리고개’ ‘울고 넘는 박달재’ ‘만리포 사랑’ ‘소양강 처녀’ ‘삼천포 아가씨’ ‘산장의 여인’ ‘무너진 사랑탑’ 등 전국에 세워진 그의 노래비가 10여 개에 이른다.

창작생활 한편으로 마산방송국 문예부장, 한국가요작가동지회 종신회장, 한국음악저작권협회 고문, 한국전통가요사랑뿌리회장 등을 역임했고 가요계에 기여한 공로로 KBS특별상, 화관문화훈장 등을 받았다. 유족으로 부인 윤경분 씨(92)와 2남 4녀가 있다. 장례는 5일장으로 치를 예정이다. 빈소는 서울아산병원. 발인 30일 오전 8시. 02-3010-2230

동아일보 임희윤 기자 imi@donga.com  

 

* 작사가 반야월 = 가수 진방남

 

기본 정보
예명 추미림, 박남포, 남궁려, 금동선, 허구, 고향초, 옥단춘, 백구몽
본명 박창오
출생 1917년 8월 1일

경상남도 마산, 현재 창원시

사망 2012년 3월 26일
직업 작사가, 가수
장르 트로트
활동 시기

1937년 ~ 2000년대

 

대표곡 (진방남)
불효자는 웁니다 1940년
잘 있거라 항구야 1940년
마상일기 1940년
꽃마차

1942년

 

대표작 (반야월)
울고 넘는 박달재 1948년
단장의 미아리고개 1956년
산유화 1956년
산장의 여인 1957년
무너진 사랑탑 1958년
열아홉 순정 1957년
아빠의 청춘 1966년
소양강처녀 1969년

반야월(半夜月, 1917년 8월 1일 ~ 2012년 3월 26일)은 일제 강점기대한민국의 대중가요 작사가이며 가수이다. 가수로 활동하던 때에는 진방남(秦芳男)이라는 예명을 사용했다.

[편집] 생애

원적지는 경상남도 마산이고 출생지 또한 경상남도 마산이며 본명은 박창오(朴昌吾)이다. 추미림(秋美林), 박남포(朴南蒲), 남궁려(南宮麗), 금동선(琴桐線), 허구(許久), 고향초(高香草), 옥단춘(玉丹春), 백구몽(白鷗夢) 등의 여러 예명도 사용했다.

어릴 때 경상남도 진해로 이주하여 자랐으며, 1937년태평레코드가 주최한 전국 신인가수 선발 가요 콩쿠르에 입상하면서 가수로 데뷔했다. 진방남이라는 예명으로 발표한 〈불효자는 웁니다〉, 〈꽃마차〉 등이 대표작이다. 이후 남대문악극단을 조직해 《산홍아 너만 가고》, 《마도로스 박》 등의 악극을 제작했고, 방송극도 집필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특히 작곡가 박시춘, 가수 이난영과 더불어 '한국 가요계의 3대 보물'이라고 일컬어질 정도로 대중의 사랑을 받은 노랫말을 많이 작사했다.[1] 〈넋두리 20년〉을 시작으로 자신이 불러 히트한 〈꽃마차〉, 그리고 〈단장의 미아리고개〉, 〈유정천리〉 , 〈울고 넘는 박달재〉 , 〈만리포 사랑〉, 〈벽오동 심은 뜻은〉, 〈비 내리는 삼랑진〉, 〈아빠의 청춘〉, 〈무너진 사랑탑〉, 〈산장의 여인〉,〈산유화〉, 〈소양강처녀〉 등이 잘 알려진 곡이나, 작사한 노래만 수천 편이 넘는다. <소양강처녀>를 부른 가수는 '김태희'이며 작곡자는 '이호'이다.

1956년 대한레코드작가협회, 1964년 한국음악저작권협회, 1974년 한국가요반세기작가동지회 등의 설립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66년 국제가요대상 작사상, 1967년 공보부장관 감사상을 받았고, 1991년에는 문화훈장 국민장을 서훈 받았다.

한국 역사상 가장 많은 노래를 작사하고 가장 많은 히트곡을 낸 작사가이면서 가장 많은 노래비를 보유한 작사가로도 알려져 있다.[2] 내 고향 마산항, 단장의 미아리고개, 울고 넘는 박달재, 만리포 사랑, 두메산골, 소양강처녀, 삼천포아가씨 등의 노래비가 전국 곡곡에 세워져 있다. 고향 마산에서는 반야월 가요제도 열려 왔다.[3]

일제 강점기 말기에 가수로 〈소년초〉, 〈조국의 아들〉 등을 불렀으며 〈결전 태평양〉, 〈일억 총 진군〉와 같은 군국가요 작사에 참여한 경력[4][5]이 있어, 2008년민족문제연구소가 공개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의 음악 부문에 포함되었다.

2012년 3월 26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6세.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