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iframe width="760" height="560" src="https://www.youtube.com/embed/bDp_UBovguQ?list=RDCMUCR1DO0CfDNPVdObksAx508A"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다음 불로그
- 미
Archives
- Today
- Total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엉컹퀴꽃 - 허윤정 본문
![]()
엉겅퀴꽃 허윤정(1939~ ) 역광의 노을 속에서 누가 나를 부르는가 아득한 수평선 넘어 파도소리 외로운데 내 기억 멀고 먼 저편 엉겅퀴 꽃 손 흔든다.
나 또한 배로 몇 시간 달린 절해고도에서 그런 엉겅퀴 꽃을 본 적 있다. 옷 다 해지고 머리도 풀어헤친 채 뭐라 여기까지 쫓겨와, 그것도 억새 꽃 군락 속에 숨어숨어 피던 오랑캐 같던 그 꽃을 무슨 죄업 그리 많다고 핏빛으로 타오르는 노을 업고 숨죽여 해조음을 듣던 그 꽃. 수평선 너머 아득히 밀려오고 밀려가는 그리움에 가시 찔린 듯 온몸으로 떨던 엉겅퀴 꽃을 백자처럼 단아한 시조 한 수에 담고 있네. 너는 조선의 눈빛 /거문고 소리로만 눈을 뜬다//어찌 보면 얼굴이 곱고 /어찌 보면 무릎이 곱고// 오백년/마음을 비워도/다 못 비운 달항아리. ”허윤정의 시는 조선 백자에 흠뻑 취해 시조에서 백자의 완벽한 형태와 미학을 추구했던 스승 김상옥 시인에게 올곧게 배웠음인가. 아니면 ‘백자 항아리’처럼 마음을 비운 건가. 스승이 일제시대부터 펴냈던 동인지 『맥(<8C98>)』을 이어받아 주재하고 또, ‘시궁이후공(詩窮以後功)’인지라, 가난하게 살아서 시가 더 공교로워진 시인들에게 ‘백자예술상’을 만들어 적잖은 상금도 쾌척하고 있으니..... <이경철·문학평론가> 2014년 2월 7일 중앙일보 아침 시단에서
'🌱 Ador 사색. 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살아만 있어도 좋을 이유 ~ 박만엽 (영상:돌태/낭송:고은하) (0) | 2015.03.10 |
---|---|
☆ 늙었을 때 명심해야 할 일 (0) | 2015.01.31 |
벚꽃 핀 술잔 - 함성호 (0) | 2015.01.28 |
밥 푸는 순서 (0) | 2015.01.28 |
☆ 당신은 가고 꽃으로 남았나 - 글 이유미. 낭송 이혜정 (0) | 2015.01.28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