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암에 비해 조기 진단이 어렵고, 전이는 빨라서 예후가 좋지 않은 암 - 폐암.
서울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 박영식 교수님, 흉부외과 강창현 교수님 그리고 종양내과 김동완 교수님이
폐암의 증상, 진단, 치료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플레이어가 안 보이는 경우, http://www.snuh.org/podcast/podview.jsp?pod_idx=27
를 클릭해 주세요!
안녕하십니까? 서울대병원 팟캐스트, 건강톡톡 저는 내분비내과 조영민 교수입니다.
한국인의 암 발병률 1위이자 사망률 1위암, 바로 폐암입니다. 다른 암에 비해 조기 진단이 어렵고, 전이는 빨라서, 예후가 좋지 않은 암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폐암을 예방하고 정복할 수 있는 방법, 오늘부터 두 시간에 걸쳐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스튜디오가 꽉 찼습니다. 먼저 폐암의 예방과 진단을 담당하시는 호흡기내과 박영식 교수님, 수술을 담당하시는 흉부외과 강창현 교수님 그리고 항암치료의 종양내과 김동완 교수님, 이렇게 세분 한자리에 모셨습니다.
- 안녕하십니까? 바쁜 교수님들이 이렇게 한자리에 모시기도 쉽지 않은데요. 모두 감사합니다. (인사)
많은 환자분들이 처음 폐암이 의심될 때, 어느 과를 찾아가야 하나....고민들을 하시는데, 일단 우리 호흡기내과 박영식 교수님을 찾아가야 하는거죠?
- (박영식 교수) 맞습니다. 환자분들이 폐암이 의심될 때 실제 폐암이 아닌 경우도 많기 때문에 이런 것들을 전체적으로 확인하려면 호흡기내과로 먼저 오시는 것이 맞습니다.
- 폐암의 증상이라고 하면, 기침 정도로만 알고 계시는데, 실제로 어떤 증상들을 동반하는지...또, 폐암이 어느 정도 진행됐을 때, 증상이 드러납니까?
- (박영식 교수) 폐암의 증상은 아주 다양한데, 특징적인 것은 다른 호흡기 증상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흔한 증상이라고 하면 기침, 가래, 숨차다 이런 증상일텐데 다른 폐질환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이거든요. 그래서 기침 오래한다고 해서 먼저 폐암을 의심하는 것은 조금 어렵구요. 저희 데이터를 보면 4년간 서울대병원을 방문했던 폐암을 진단 받았던 사람들을 보면 절반 정도는 증상이 없었습니다.
- 일반인들이 생각하기엔, 폐암이면 다 같은 폐암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폐암에도 종류가 있습니다. 폐 조직에서 발생했는지, 다른 장기에서 발생해서 폐로 전이된 것인지에 따라 다르고요. 또, 조직형에 따라서는 비소세포폐암, 소세포폐암으로 구분하죠. 일반인들이 들으시기엔 상당히 난해하고 생소한 용언데요. 이건 어떤 교수님께서 좀 쉽게 설명해주시겠습니까?
- (김동완 교수) 제가 말씀드리죠. 보통 일반인들이 혼란스러워 하는 것이 다른 장기에서 생겨서 폐로 전이된 것을 폐암이라고 하는게 맞느냐 이런게 궁금증인데요. 예컨대 대장암이였는데 시간이 지나서 폐에 전이되었다고 하면 폐암이 아니거든요. 대장이 폐에 전이 된 것이고 그것을 폐암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오늘 우리가 이야기 나눌 폐암은 폐에서 원래 생기는 즉 원발성 폐암이라고 하는데요. 우리는 여기에 대해서 애기할까 합니다.
- 비소세포폐암과 소세포폐암이라고 하는데 간단하게 설명해주시겠습니까?
- (김동완 교수) 폐암을 현미경으로 봤을 때 세포 크기가 큰 폐암이 있고요 세포 크기가 작은 폐암이 있는데 세포 크기가 작은 폐암을 소세포폐암이라고 합니다. 암 덩이가 작다는 것이 아니고 현미경으로 봤을 때 세포가 작다는 뜻입니다. 세포 크기가 커 보이는 것을 비소세포폐암이라고 합니다.
- 비소포폐암, 소세포폐암을 구분하는 것은 예후에 차이가 있어서 그런 것 같은데요. 김동완 교수님 어떻습니까?
- (김동완 교수) 사실 비소세포폐암과 소세포폐암의 근본적인 예후의 차이는 없습니다. 폐암의 예후는 둘 다 조직 형태에 따라서 다 비슷하다고 할 수 있고요. 오히려 치료법에 차이가 있어요. 비소세포폐암은 수술을 먼저 생각하는 폐암이고요 소세포폐암은 대게는 수술하기에는 좀 더 진행된 상태로 진단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기 때문에 수술 보다는 항암제 치료와 방사선 치료가 주 치료가 됩니다.
- 그렇군요. 일반적으로 세포폐암은 상대적으로 비소세포폐암보다 치료가 어렵다는 이런 얘긴를 하시는데, 어떻습니까? 수술보다는 항암치료에 의존해야 하는 겁니까? 종양내과 김 교수님
- (김동완 교수) 그렇지 않습니다. 그 일단 먼저 빈도를 말씀드리면 일반적으로 폐암이다 그랬을 때 비소세포폐암이 90%, 소세포폐암이 10%가 됩니다. 소세포폐암은 요즘 점점 빈도도 줄어들고 있어서, 거의 대부분은 일반적인 폐암은 비소세포폐암이라고 하면 되고요. 비소세포폐암은 기본적으로 제일 중요한 치료는 수술입니다. 수술이 가능하면 수술하는게 가장 좋은 치료이고요. 소세포폐암은 대개는 수술하기에는 조금 어려운 진행된 상태로 발견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소세포폐암은 항암제치료나 방사선치료가 주 치료가 되지요. 일반적으로 비세포폐암은 수술이 우선적 치료고, 소세포폐암은 항암제와 방사선치료가 우선이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소세포폐암 환자의 경우 대부분 흡연력이 많은 환자에게서 발생하기 쉽다고 알고 있습니다만, 사실상 흡연과 폐암 떼래야 뗄 수 없는 관계죠. 호흡기내과 박 교수님 어떻습니까?
- (박영식 교수) 폐암의 위험인자를 열 개 나열해봐라 하면 첫째는 흡연이고요 둘째도 흡연이고요 한 8번째 가도 흡연이고요. 아홉 번째쯤 되어야 간접흡연입니다.
- 폐암의 진단과 예방 치료와 관련한 세 분 교수님들...담배에 대해서는 하실 말씀이 참 많을 것 같은데요. 최근 지상파 뉴스에서 흡연 년수에 따른 폐 상태를 동영상으로 보여줬는데, 저만해도 알고 있었지만 직접 보니 섬뜩했습니다. 강 교수님, 폐암 수술을 집도한 의료진은 폐 색깔만 봐도 흡연 년수를 대략 알 수 있다고 하던데요.
- (강창현 교수) 네, 대개 폐암수술을 많이 하는데 폐 색깔과 상태를 보고 환자분이 담배를 얼마나 피셨는지를 대충 예측은 할 수 있습니다.
- 앞서도 말씀드렸지만, 폐암은 우리나라 암사망률 1위 암입니다. 완치율, 그러니깐 5년 생존률이 20%가 채 되지 않는 암인데요. 폐암 치료가 이렇게 어려운 이유는 어디에 있습니까?
- (김동완 교수) 그건 제가 먼저 말씀드리겠습니다. 제가 모두에 말씀드릴 때 비소세포폐암은 수술하는 게 제일 좋다 그렇게 말씀드렸는데 그런데 문제는 비소세포폐암은 수술하기 어려울 때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강창현 교수님 통계를 좀 알고 계신가요? 비소세포폐암이 진단되었을 때 강창현 교수님께서 수술 하실 수 있는 병기로 발견되는 경우가 몇 % 되지요?
- (강창현 교수) 우리나라는 전체 비소세포폐암 환자 중에서 15~20% 환자가 수술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런 수치는 나라마다 굉장히 다르구요. 건강검진이 많이 시행되는 나라에서는 수치가 높고요. 일본은 30%를 상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건강검진을 많이 시행하지 않는 나라에서는 수치가 많이 떨어지는 현상이 보입니다.
저희 외과 의사 입장에서는 폐암 자체가 워낙 진행이 빠르고 발견 당시 병기가 아주 높은 분이 많아서 건강검진을 특히 담배를 피시는 분은 건강검진을 정기적으로 함으로써 초기 폐암을 빨리 일찍 발견하는 것이 환자분들의 치료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김동완 교수) 그런데 건강검진이 모든 환자 모든 인구집단에서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잖아요? 검진했을 때 좋은 분들이 있고 필요 없는 분들이 있는데 박영식 교수님께서 잘 아실 것 같은데요?
- (박영식 교수) 건강검진이라고 하면 저선량 흉부 CT일텐데. 일반인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고요. 폐암의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해야 할 텐데. 지금까지 알려진 고위험군은 나이 많고 흡연력이 많은 두 가지 요건이 일단은 고위험군에 속합니다.
- (김동완 교수) 담배를 몇 갑을 태워야 많이 피웠다고 할 수 있을까요? 건강검진의 대상이 되는 기준이요?
- (박영식 교수) 담배는 갑년이라는 단위를 쓰는데 하루 1갑씩 1년을 피우면 1갑년입니다. 그랬을 때 30갑년 정도가 되었을 때 담배를 많이 핀다고 할 수 있어요. 그 정도 피웠을 때 조기 검진을 받는게 좋다고 할 수 있겠네요.
- 대개 암이 걸렸는데, 수술이 어렵다고 하면 자포자기 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요즘은 상당히 좋은 치료제가 많이 나와 있지 않습니까? 김 교수님
- (김동완 교수) 폐암이 진단되었을 때 수술을 할 수 있는 분은 20% 10명 중 2명 되고요. 나머지 8명은 수술하기 어려운 상황에 발견되시는 건데. 그렇다고 해도 희망은 있습니다. 방사선치료라는 좋은 방법이 있고요. 수술하기에는 좀 더 진행 상태이지만 전이가 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방사선치료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방사선 치료를 했을 때 또 좋은 치료 결과가 이루실 수 있는 분이 있기 때문에 수술이 안 된 경우에 차선책으로 방사선치료를 씁니다. 방사선치료도 어려운 상황인 경우에는 항암제 치료를 하게 되는데, 과거에는 항암제 치료가 크게 효과가 좋지 않았지만 요즘 표적치료제 즉 암의 종류에 맞는 좋은 항암제들이 많이 개발이 되고 있어서 항암제 치료에 효과는 점점 더 좋아지고 있습니다. 요약해서 말씀 드리면 첫 번째는 수술, 만약에 안 되면 차선책은 방사선 치료, 그것도 안 되면 항암제 치료를 시도한다고 생각하 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호흡기내과 박영식 교수님, 흉부외과 강창현 교수님 그리고 종양내과 김동완 교수님 모시고, 폐암에 대한 얘기 나눠봤습니다. 다음 시간에도 역시 세 분 교수님 모시고, 보다 자세한 치료법과 예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세분 교수님 감사합니다.
서울대병원 팟캐스트 건강톡톡, 저는 내분비내과 조영민 교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건강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