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는 끊임없이 운전자에게 말을 건다.
전자기기가 많아지면서 '소통'의 수단도 많아졌다.
계기반은 어느 정도의 속도로 가고 있는지, 사각지대 감지 시스템은 위험 상황을 알려주고 차선을 이탈하지 않도록 경고하고 경제운전을 잘 하고 있는지를 알려 주기도 한다.
대부분은 습관적으로 지나치는 자동차와의 소통은 그러나 무심코 지나치면 안되는 경고들이 있다.
특히 계기반에 나타나는 여러가지 표시들은 자동차의 이상 유무를 사전에 경고하는 것이다.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등 색상별로 나타나는 경고의 의미, 그리고 모양별로 어떤 의미의 경고를 하고 있는지 알아봤다.
계기반에 표시되는 경고등 색 가운데 빨강색은 매우 긴박한 상황을 알려주는 신호다.
주행에 매우 위험한 또는 치명적인 요인이 있을 때 빨강색 경고등이 표시된다.
노랑색은 주행이나 안전에 당장은 위험하지 않지만 위험 상황을 점검하도록 주의하는 신호들이다.
반면 초록이나 파랑색은 보조 장치 등의 작동 상태를 알려주는 색으로 차량의 이상유무와는 상관이 없다.
빨강색부터 살펴보자.
도어가 열려 있거나 안전벨트를 매지 않았을 때 또는 배터리나 냉각수, 오일 등이 부족할 때 표시되는 것들이다.
안전 사고 또는 사고시 치명적인 부상을 예방하는데 필수적인 행동을 요구하거나 엔진 과열이나 동파, 제동성능 저하로 심각한 차량 고장이나 사고로 연결 될 수 있다는 강력한 경고다.
노랑색은 일반 주행에는 큰 영향이 없지만 장기적으로 방치하거나 지나치면 안전이나 차량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경고다.
퓨즈 박스의 이상을 알려주는 경고부터 ABS 경고등, 타이어 공기압 이상과 자동차 도난 방지를 위한 이모빌라이저의 경고등도 모두 노랑색이다. 연료가 부족할 때 표시되는 경고등도 노랑색이다.
전문가들은 "노랑색 경고등도 소홀하게 대응해서는 안된다"며 "엔진이나 ABS, VDC,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은 그냥 방치했을 경우 심각한 차량 고장이나 사고로도 이어 질 수 있기 때문에 빨강색 경고등 못지 않게 관심을 갖고 대응해야 한다"고 말한다.
파랑색 경고등은 대부분 차량의 작동 상태를 알려준다.
전조등 또는 안개등이 켜져 있는지, 크루즈 컨트롤 설정 상황 또는 비상경고나 방향지시등을 표시하는 색상이 대부분 파랑색이다. 차량별로 조금씩 다른 색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계기반에 나타나는 경고는 어떤 색이든 관심있게 바라보고 적절하게 대응하는 것이 차량 고장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하는 한편, 안전에도 절대적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특히 요즘 같은 한파에는 '빨강' 경고등이 켜지면 주저없이 차를 세우고 이상 유무 확인과 조치를 취하는 것이 현명하다. <참고 현대자동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