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iframe width="760" height="560" src="https://www.youtube.com/embed/bDp_UBovguQ?list=RDCMUCR1DO0CfDNPVdObksAx508A"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미
- 다음 불로그
- Today
- Total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이슈노트] SM3 후속 르노 메간 세단(SM4) 공개! 아반떼를 뛰어넘을 수 있을까? 본문
[이슈노트] SM3 후속 르노 메간 세단(SM4) 공개! 아반떼를 뛰어넘을 수 있을까?
Ador38 2016. 11. 5. 21:11[이슈노트] SM3 후속 르노 메간 세단(SM4) 공개! 아반떼를 뛰어넘을 수 있을까? / SM4 제원+가격+출시일 이슈노트 / 자동차 플래너
2016.10.29. 16:10
http://blog.naver.com/whdgus9640/220847887211
얼마 전 'SM3'의 차기 후속 모델로 가능성이 높은 '르노 메간 세단'이 공개되었습니다. 최근 SM6와 QM6가 연달아 출시되면서 'SM4' 출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상황에서 르노 메간은 한국에서 SM4라는 이름으로 SM3 후속 모델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한국 준중형 시장은 선두주자 '아반떼'를 비롯하여 K3, 크루즈 등 쟁쟁한 경쟁자들이 포진해있습니다. 과연 메간은 어떤 성능과 사양, 디자인으로 준중형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을까요? 그리고 SM4는 아반떼를 뛰어넘을 수 있을까요?
SM3 후속, 메간(SM4) 전면부 분석
전면부 디자인부터 살펴보겠습니다. 르노삼성의 디자인은 새로운 패밀리룩이 적용되며 모든 모델의 생김새가 유사한데요, 헤드램프를 감싸는 ‘ㄷ’ 모양의 강렬한 주간주행등이 인상적입니다. 헤드램프 뿐만 아니라 라디에이터 그릴이나 범퍼 디자인 등 대부분의 디자인 요소가 SM6과 같은 다른 여타 모델과 유사하지만, 준중형 세단에 맞게 다듬어 디자인 완성도가 무척 높은 모습입니다.
SM3 후속, 메간(SM4) 측면부+크기 분석
이어서 측면부입니다. 측면부 역시 직선으로 구현한 강인하면서 스포티한 차체가 인상적입니다. 로커 패널은 깊고 얇게 표현하여 더욱 휀더 라인을 두드러지게 하였으며 후면부에서 이어지는 캐릭터 라인 역시 볼륨감을 더하고 있습니다. 독특한 휠 디자인도 정말 이쁘네요. 크기도 더 커졌는데요, 휠베이스는 2,700mm에서 2711mm로 소폭 늘어났고, 전장 역시 4,620mm에서 4,630mm로 기존 SM3보다 10mm 더 길어졌습니다. 반면 또한 전고는 1,474mm에서 1,443mm로 31mm 낮아져 스포티한 디자인을 구현했을 뿐만 아니라 차체에 균형감을 제공했습니다.
SM3 후속, 메간(SM4) 후면부 분석
후면부 역시 정말 군더더기없는 모습입니다. 원래 르노 메간은 해치백으로 먼저 출시되고 세단으로 변형된 형태인데, 해치백에서 세단을 만들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이 바로 후면부 모습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자연스럽게 이어지며 끝을 살짝 올린 트렁크 라인의 디자인은 정말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공기역학까지 고려했다고 하네요. 테일램프 역시 다른 르노삼성의 모델들과 비슷하지만 준중형 세단에 맞게 살짝 변형을 하였는데요, 위로 살짝 굴곡을 주면서 넓고 스포티해 보이는 효과를 주었습니다.
SM3 후속, 메간(SM4) 실내 분석
실내 모습 역시 연달아 디자인의 완성도에 감탄이 나옵니다. SM6에 적용되던 계기반 컬러 디스플레이와 함께 8.7인치의 세로형 터치스크린도 고스란히 적용되었고, 도어와 센터터널 등에는 감각적인 무드등이 더해지며 준중형 세단이지만 다른 경쟁 모델과는 다른 고급스러운 감성을 누릴 수 있습니다. I-서피스 멀티미디어와 멀티센스를 그대로 갖추고, 시원한 개방감을 자랑하는 글래스루프를 채택했다. 더불어 긴급 제동시스템, 이지 파크 어시스트, 차선이탈 경고기능, 스마트 트렁크 등 다양한 편의장비 및 안전장비를 투입했다
SM3 후속, 메간(SM4) 파워트레인 분석
파워 트레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럽에 출시된 메간 세단 기준으로 2개의 가솔린과 3개의 디젤로 구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2L 가솔린은 최대출력 130마력에 최대토크는 20.9kg.mm, 1.6L 가솔린은 최대출력 205마력에 최대토크 28.6kg.m을 발휘하며 1.5L 디젤은최대출력 110마력에 최대토크 25.5kg.m, dCi 모델의 경우 최대출력 90마력에 최대토크 최대토크 22.4kg.m이며 1.6L 디젤은 최대출력 130마력에 최대토크 32.6kg.m을 발휘합니다.
SM3 후속, 메간(SM4) 예상 가격+출시시기 분석
한편 메간은 스페인 팔렌시아 공장에서 생산되어 한국에 수입될 예정입니다. 그래서 예상가격 역시 국내에서 생산되는 경쟁모델보다 다소 높은 1000만원 후반에서 2000만원 초반에 형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시시기는 올해 하반기, 또는 내년 상반기로 거론되고 있는데 르노삼성에서 'SM4에 대한 계획이 없다'고 밝히면서 내년 상반기 즈음 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SM4, 아반떼를 뛰어넘을 수 있을까?
소비자들이 르노삼성에서 SM6가 출시됬을 때 쏘나타와 K5를 비교하였고, 얼마 전 QM6가 출시됬을 때도 싼타페와 쏘렌토를 비교했듯이 SM4를 앞둔 상황에서 사람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점은 바로 'SM4가 아반떼를 뛰어넘을 수 있을까?'에 대한 대답일 것입니다. 르노 메간 세단을 통해 살펴본 SM4는 경쟁모델에 비해 완성도 높은 디자인과 고급스러움으로 출시 전부터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얻는데 성공했습니다.
르노삼성은 SM6, QM6 등 (네이밍) 프리미엄 전략을 통해 흥행에 성공하며 이 열풍을 SM4, 클리오(QM1)까지 이어나가려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SM6와 QM6에서 바뀐 모습은 1을 더한 새로운 이름과 새로운 디자인, 그리고 높아진 가격일 뿐 상품성과 성능은 전작과 비교에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SM6와 QM6가 강력한 경쟁모델이자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이러한 눈속임식 전략에 대한 논란 역시 끈임없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SM4 역시 같은 전략으로 한국에 선보인다면 SM6와 QM6와 같이 2인자, 혹은 이보다 더 낮은 위치에 자리잡을 것입니다. 다만 지속적으로 라인업을 확충하여 소비자들의 선택 폭을 넓히고 있는 르노삼성에게 박수를 보냅니다!
'📡 4차산업.보안.특허.AI.IT > 🚢 조선.차량.항공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핫이슈] 판매 부진한 자동차 업계..할인 마케팅에 ‘올인’ (0) | 2016.11.07 |
---|---|
아반떼 2016년형 디젤 (개별소비세 환원)(2016.07.01) (0) | 2016.11.05 |
[시승기] 현대 아반떼 vs 쉐보레 크루즈 vs 르노삼성 SM3 (0) | 2016.11.05 |
2016년 10월 국산차 판매량…점점 약해지는 현대기아차 (0) | 2016.11.04 |
지프, 4개 차종 75주년 에디션 모델 출시 (0) | 2016.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