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다음 불로그
- 미
- <iframe width="760" height="560" src="https://www.youtube.com/embed/bDp_UBovguQ?list=RDCMUCR1DO0CfDNPVdObksAx508A"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Today
- Total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식중독 가장 많이 일으키는 식품은 씻지 않은 채소 본문
식중독 가장 많이 일으키는 식품은 씻지 않은 채소
남지원 기자 입력 2017.05.23. 15:31 댓글 157개
[경향신문]
식중독의 주범은 고기류나 조리한 식품류가 아닌 ‘잘 씻지 않은 채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5년간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을 일으킨 식품(환자 수 기준)은 채소류가 41.8%로 가장 많았다. 육류는 14.2%, 김밥 등 복합조리식품은 2.6%에 불과했다.
채소류가 식중독의 주요 원인인 이유는 병원성대장균에 오염된 채소를 깨끗한 물로 세척하지 않거나 상온에 장시간 방치 후 생으로 섭취했기 때문이다. 분변, 축산 폐수 등에 오염된 지하수나 하천수를 정수하지 않고 농업용수로 사용하면 채소가 병원성대장균에 오염될 수 있다.
실제 2014년 5월 인천지역 10개 초중고 1163명에게서 발생했던 동시다발적인 식중독의 원인은 특정 업체가 납품한 김치로 확인됐다. 이 업체는 오염된 열무를 충분히 세척·소독하지 않고 김치를 담근 것으로 추정됐다.
식약처는 채소류 소독을 위해서는 먼저 흐르는 물에 씻은 뒤 염소소독제, 식초 등을 탄 물에 5분 이상 담그고 깨끗한 물로 3회 이상 충분히 헹궈내야 한다고 당부했다.
살균한 뒤에도 채소 표면의 기공 같은 작은 틈새에 식중독균이 살아남아 있다가 저장 기간 증식할 수 있으므로 빨리 사용하거나 냉장 보관해야 한다.
여름철 상온 보관 시 물세척한 식재료는 30분~1시간, 살균처리한 식재료는 1시간10분~2시간까지 안전하다. 칼과 도마도 조리되지 않은 식품과 조리된 식품을 구분해 사용하는 것이 좋다.
<남지원 기자 somnia@kyunghyang.com>
'🥗🥧 식품.조리.레시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발 불매운동 하지 말아주세요" (0) | 2017.06.12 |
---|---|
“아침마다 한 잔씩”…美 아마존, ‘김치주스’ 판매 (0) | 2017.06.06 |
소고기 대신 귀뚜라미 구워먹으면.. 지구를 살릴 수 있다? (0) | 2017.05.21 |
한 달도 끄떡없는 감자·고구마 보관법 (0) | 2017.05.18 |
* 바나나 껍질의 깜짝 놀랄만한 효능 9가지 (0) | 2017.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