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미
- <iframe width="760" height="560" src="https://www.youtube.com/embed/bDp_UBovguQ?list=RDCMUCR1DO0CfDNPVdObksAx508A"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다음 불로그
- Today
- Total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캔참치에 들어있는 기름의 정체는? 본문
라이브러리·2017.06.21. 작성
캔참치에 들어있는 기름의 정체는?
사소해서 물어보지 못했지만 궁금했던 이야기
아래로 스크롤
캔참치는 가다랑어의 순수 살코기를 115℃가 넘는 고온에서 살균 처리하고 밀폐 용기에 포장한 멸균 통조림인데, 1982년에 출시한 이후 지금까지 사람들에게 꾸준히 사랑받고 있습니다.
구성은 매우 단순한데, 캔참치를 열어보시면 살코기와 기름이 있습니다. 간혹 열다가 기름이 손에 묻는 경우가 있는데, 매우 미끄러워서 주의를 요합니다.
근데 이 기름의 정체가 무엇인지 알고 계신가요?
사람마다 이 기름을 대하는 방식이 많이 다른데, 짜서 버리시는 분도 있고, 다 드시는 분도 있습니다.
필자는 기름을 꾹 짜서 버린 다음에 먹는 편인데, 부모님이 그렇게 드시길래 버려야 하는 기름인 줄 알고 그랬습니다.
![](http://img1.daumcdn.net/thumb/R720x0/?fname=http://t1.daumcdn.net/liveboard/speedwg/d9ef1734968d4431a99c16864c79a4ac.jpg)
근데 자료를 조사해보니 제가 아는 것과는 많이 달랐습니다. 캔참치의 성분표를 따로 살펴본 적은 없었는데, 글을 쓰기 위해 살펴보니 충분히 알고자 하는 정보가 들어 있더군요.
바로 캔참치에 들어있는 기름의 정체는 '카놀라유'인데, 이 카놀라유는 건강에 좋다고 알려진 기름입니다.
카놀라유에는 필수 지방산인 리놀렌산과 비타민E가 풍부하고, 콜레스테롤이 들어있지 않으므로 다이어트하는 사람이 먹어도 좋은 기름입니다.
근데 왜 기업에서는 캔참치에 카놀라유를 넣을 생각을 했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사실 외국에서 판매하는 참치을 보시면 기름이 아닌 물이 들어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문화의 차이에서 비롯됐는데, 우리나라는 찌개나 반찬 등을 많이 해먹어서 캔참치의 참치도 그렇게 이용할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http://img1.daumcdn.net/thumb/R720x0/?fname=http://t1.daumcdn.net/liveboard/speedwg/067775bc003c4b24a218949889a89b2e.jpg)
물이 들어간 캔참치는 살코기가 퍽퍽한 편인데, 찌개나 반찬 등을 하기에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그래서 살코기가 부드러운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끔 기름을 넣은 건데, 많은 분이 이를 잘 모르고 참치의 기름이라 생각해 버리곤 했던 것입니다.
![](http://img1.daumcdn.net/thumb/R720x0/?fname=http://t1.daumcdn.net/liveboard/speedwg/df8c236517874e3abb6aed04df9704c7.jpg)
처음부터 카놀라유를 넣은 것은 아닌데, 원래는 참기름을 넣고 판매하려고 했습니다. 근데 멸균 과정에서 참기름이 다 타버려서 색과 맛이 변질할 우려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대안으로 해바라기 씨유를 사용해봤는데, 맛은 괜찮으나 기름이 비싸서 결국 식물성 기름인 면실유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면실유는 목화씨를 원료로 추출한 기름인데, 잘 사용하다가 2008년쯤 웰빙 열풍이 불면서 '카놀라유'로 대체했습니다.
이 카놀라유는 유채꽃에서 추출한 불포화지방산 기름인데, 앞에서 언급했듯이 건강에 좋은 기름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먹는 현재의 대부분 캔참치에는 카놀라유나 대두유(콩기름)가 들어가는데, 이것들이 건강에 좋은 기름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표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카놀라유는 GMO(유전자 조작 식품)를 사용하기 때문인데, 경실련 소비자 정의센터에서 2015년 6월 말에 시중에 판매하는 참치·연어 통조림에 들어있는 식용유에 관해 GMO 실태조사를 한 적이 있었습니다.
![](http://img1.daumcdn.net/thumb/R720x0/?fname=http://t1.daumcdn.net/liveboard/speedwg/66dc906a03994c29821ec3395f8d5514.jpg)
한 번 조사 해보니까 대부분 카놀라·대두를 원재료로 사용하고 있었는데, GMO 여부는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경실련은 업체들에게 원재료와 GMO 여부 공개를 요청했는데, 거절 당했습니다.
그리고 한국식품산업협회에서는 업체들은 기준에 따라 성실히 표기 중이라는 답변을 했는데, 사실 이는 GMO 표시 제도의 허점이 있어서 그렇습니다.
제도에 따르면 최종 제품에서 GMO 단백질·DNA가 검출되지 않으면 표시 대상을 면제해주는데, 콩기름은 기름을 짜서 만드므로 검출 될 일이 없습니다.
![](http://img1.daumcdn.net/thumb/R720x0/?fname=http://t1.daumcdn.net/liveboard/speedwg/6f4446a184454fa397b4a76f1066668d.jpg)
그래서 표시가 면제된 것인데, 정확히는 사용 여부를 모른다고 답해야 하겠지만 국회 입법조사처의 발표에 따르면 국내에 수입한 카놀라의 100%, 대두의 77%가 GMO 식품이라고 합니다. (2014년)
따라서 카놀라유는 GMO로 만든 기름일 확률이 상당히 높습니다.
물론 안전하지 않다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꺼려하는 분이 많으므로 논란이 되기도 했는데, 우리나라는 GMO 식품을 꽤 많이 먹고 있으므로 캔참치만의 문제는 아닐 겁니다.
그러므로 캔참치에 있는 기름을 먹는 선택은 본인에게 달렸습니다.
끝으로 그냥 기름 없이 먹는 것이 좋은 분들은 기름을 따로 모아놨다가 김치지개 끓이실 때나 볶음 요리를 하실 때 사용해주시면 좋습니다.
'🥗🥧 식품.조리.레시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쌀밥=살찌는 음식? 아니래요!.."고혈압·당뇨 막아준다" (0) | 2017.06.24 |
---|---|
삼성물산 합병 실패했다면 국민연금 최소 1조원 손실 추정 (0) | 2017.06.23 |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편의점 신상 과일빙수 리뷰 (0) | 2017.06.23 |
[단독]청와대, 경찰에 차기 검찰총장 인사검증 지시 (0) | 2017.06.12 |
삼겹살 기름 안튀고 굽는 법! TAT (0) | 2017.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