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 패혈증(敗血症) 본문

⛄⛄ 팬데믹.보건위생.백신

* 패혈증(敗血症)

Ador38 2017. 9. 1. 10:42

 

안녕하세요.

오늘 알아볼 질환은 "패혈증"인데요.


원인과 증상, 치료, 진단, 합병증, 치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패혈증은 감염성 질환입니다.

또 발생 부위는 전신으며, 증상으로는 무뇨, 의식 변화, 열, 오한, 저체온, 저혈압, 청색증, 황달, 빈맥, 빈호흡, 심부전 등이 나타나며, 진료과는 응급의학과로 매우 위험도가 있는 질환입니다.


 



 

패혈증이란

 

곪아서 고름이 생긴 상처나 종기 따위에서 병균이나 독소가 계속 혈관으로 들어가 순환하여 심한 중독 증상이나 급성 염증을 일으키는 병입니다. 센균이 혈액속으로 들어가 번식하면서 전신감염을 일으키며, 피가 오염되었다는 뜻에서 패혈증이라고 불립니다.


 



 

패혈증의 원인은?

 

원인은 병소로는 뇌수막염, 피> 부 화농증, 욕창, 폐질환, 담낭염, 신우염, 골수염, 감염된 자궁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또 병원균으로는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대장균, 녹농균, 진균, 클렙시엘라 변형 녹농균 등이 있습니다.


 


사진 출처 : 분당서울대병원

 


패혈증의 증상으로는?

 

세균에 감염되면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이 오한과 고열 입니다.  초기에는 호흡이 빨라지고 약해지며, 급성인 경우 의식이 가물거리고 착란 증세가 오기도 합니다. 또 동시에 저혈압까지 동반할 경우 패혈성쇼크가 나타납니다. 

뇌, 심장, 폐, 간, 신장 등의 중요한 장기들까지 기능이 갑자기 저하 됩니다.


 


 


패혈증의 진단

 

패혈증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 혈액, 소변, 뇌척수액 배양 검사를 시행하며, 그 외 감염이 의심되는 부위가 있으면 별도로 추가적인 검사를 시행합니다. 배양 검사 결과를 확인하는 데는 2~3일의 시간이 필요하므로 그 전에 백혈구 수의 증감 혹은 급성 염증성 물질인 ESR, CRP의 증가가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패혈증의 합병증은?

 

대부분 치료에 잘 반응하여 완치되는 경우가 많으나, 너무 늦게 치료를 시작하였든지 감염균이 치료에 잘 듣지 않는 종류일 때, 혹은 균에 대한 면역력이 약한 환자인 경우에는 사망하거나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 뇌막염이 합병되었을 경우에는 신경학적 후유증이 있을 수 있으며, 화농성 관절염이 합볍되었을 경우에는 관절이나 뼈의 성장 장애가 생길 수

있습니다.


 


 


패혈증 치료

 

임상적으로 의심이 되는 균의 배양 검사를 시행한 즉시 주사용 항생제나 항진균제로 치료를 시작합니다. 

항생제의 치료 기간은 균의 종류, 뇌막염의 합병 유무에 따라서 결정되는데, 보통 1~3주간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 일부 내성균이 자라게 되는 경우 격리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으며, 환자의 혈압이나 호흡이 불안정한 경우 집중치료를 위해 중환자실에서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 한 각 장기의 손상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하게 됩니다.


 


 


계속 해서 신장이 손상된 경우에는 혈액투석을 해야하며, 폐기능이 손상된 경우에는 인공호흡기 치료를 해야 합니다. 

혈압이 낮거나 순환상태에 따라 수액요법과 수액치료와 함께 약물치료를 하게 됩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수혈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자료출처; http://jmstory1.tistory.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