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iframe width="760" height="560" src="https://www.youtube.com/embed/bDp_UBovguQ?list=RDCMUCR1DO0CfDNPVdObksAx508A"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미
- 다음 불로그
Archives
- Today
- Total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만물상] 리오그란데의 父女 본문
[만물상] 리오그란데의 父女
멕시코 영화 '신 놈브레(Sin Nombre·이름도 없이)'에서 미국으로 밀입국하려는 사람들은 '죽음의 열차'라는
멕시코 종단 화물열차에 무임승차한다.
기차 지붕에 올라타다가 떨어져 죽기도 하고 간신히 탄 뒤에 살해나 강간을 당하기도 한다.
이들은 과테말라·온두라스·엘살바도르 같은 나라에서 왔다.
점쟁이는 주인공에게 말한다. "너는 무사히 미국에 도착할 거야.
그렇지만 신이 아니라 악마가 인도할 것이다."
▶리오그란데강을 건너 미국으로 밀입국하려던 25세 아빠와 두 살배기 딸이
강 기슭에 엎드린 채 숨져 있는 사진이 어제 신문에 났다.
딸을 업고 폭 30m 강을 건넌 아빠가 엄마를 데리러 다시 강을 건너가자
영문 모르는 딸이 아빠를 따라 강물로 들어왔다. 놀란 아빠가 다시 딸에게 갔다가 함께 급류에 휩쓸렸다.
엘살바도르에서 온 이 가족도 '죽음의 열차'를 탔을 것이다.
악마는 끝내 이들을 미국으로 인도해 주지 않았다
아이는 아빠 셔츠 안에 있었다. 아빠가 아이를 잃지 않으려 그랬을 것이다.
물살을 이겨내려 했던 아빠의 다리는 물위에 수평으로 뜬 채 무기력했다.
아이의 빨간색 바지는 기저귀 때문에 불룩했다.
새 기저귀가 담긴 가방을 든 엄마는 강 건너편에서 두 사람이 껴안은 채 떠내려가는 걸 보며 울부짖었다.
사진 한 장이 사람들 가슴을 미어지게 한다.
▶미국 국경 순찰대의 주요 업무 중 하나는 밀입국하다 숨진 사람들 시신을 거두는 일이다.
익사자, 열사병 사망자 등이다.
순찰대는 밀입국자들의 은신처를 사막에서 찾아내 숨겨둔 음식과 물을 전부 쏟아버린다.
먹을 것이 사라진 밀입국자들은 그래도 포기하지 않고 사막을 헤맨다.
제 조국은 이 사막보다도 못한 것이다.
밀입국을 막지 말라고 할 수도 없고, 밀입국을 하지 말라고 할 수도 없다.
최근에는 멕시코뿐 아니라 내전과 범죄, 가난을 견디지 못한 다른 중남미 국가에서 미국으로
밀입국하려는 사람이 늘고 있다.
▶열 살도 되기 전에 마약과 살인 범죄에 연루되는 나라, 정부와 경찰을 믿을 수 없는 나라,
가난과 폭력에서 벗어날 수 없는 나라에서 목숨 걸고 국경을 넘는다.
내 나라만 아니면 어디든 좋다는 이들이다.
그래서 중남미 가수가 부른 노래 '돈데 보이(Donde voy·어디로 가나)'가 더욱 구슬프다.
Donde voy·어디로 가나
"태양아 부디 나를/
들키지 않게 해다오/
어디로 가나/
어디로 가나/
희망이 내 목적지인데/
나는 외로이/
사막을 도망쳐 가네."
'🌱 Ador 사색. 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독] 문무일, 이현세 찾아가 사과한 사연은 (0) | 2019.07.04 |
---|---|
축구장 2.5배 깔고 앉은..그들만의 호화주택 '관사' (0) | 2019.07.02 |
* 지구촌, 슈퍼부자 55만명 15조달러 '상속 대기중' (0) | 2019.06.28 |
* IT와 보안 분야에서 ‘인싸’되는 법?! 최신 IT 및 보안 용어 (0) | 2019.06.27 |
◐ [스케일업 코리아] "아직도 카톡 쓰니?" 업무용 메신저 '잔디'의 승부수 (0) | 2019.06.25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