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iframe width="760" height="560" src="https://www.youtube.com/embed/bDp_UBovguQ?list=RDCMUCR1DO0CfDNPVdObksAx508A"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다음 불로그
- 미
- Today
- Total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세계 최초의 우주 호텔은 대관람차 모양..이유는? 본문
세계 최초의 우주 호텔은 대관람차 모양..이유는?
윤태희 입력 2019.09.01. 15:36
[서울신문 나우뉴스]
어쩌면 세계 최초의 우주 호텔은 놀이공원의 대관람차 같은 모양을 하게 될지도 모르겠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 등 외신은 31일(이하 현지시간) 영국 디자인 전문매체 ‘디진’ 29일자에 소개돼 화제가 된 한 가상의 우주 호텔을 소개했다.
‘폰 브라운 정거장’이라는 이름의 이 호텔은 미국 캘리포니아주(州) 알티로마에 있는 ‘게이트웨이 재단’의 프로젝트 디자이너팀이 설계한 일종의 우주정거장이다.
이 팀의 수석 디자이너인 팀 알라토리는 우리는 이 우주정거장을 오는 2025년 안에 운영하게 할 계획이라면서 그러면 매주 100명의 관광객이 방문할 것이라고 디진과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폰 브라운 정거장은 현재 미국항공우주국(NASA) 등이 우주 관련 연구 등의 목적으로 운영하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의 기술을 바탕으로 구축될 예정이지만, 인공 중력을 갖게 될 것이다.
이 정거장은 1950년대 독일 출신의 미국 로켓 연구가 베르너 폰 브라운이 제시한 개념에 바탕을 둔다. 대관람차처럼 생긴 지름 190m의 우주정거장이 회전하면서 지구 중력의 약 6분의 1로 달에서 느낄 수 있는 것과 같은 인공 중력을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그러면 사람들은 지구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화장실이나 샤워실을 이용하고 식사를 할 수 있어 머물기가 훨씬 편해질 것이라고 이 디자이너는 설명했다.
게이트웨이 재단이 제시한 정거장은 총 24개의 개별 모듈을 갖추고 있으며 총 400명의 사람이 머물 수 있다.
여기에는 크루즈선에서 볼 수 있는 여러 시설 즉 식당과 술집, 콘서트홀, 영화관 그리고 교육세미나장 등이 마련될 것이라고 디자이너는 덧붙였다.
또한 일부 모듈은 개인 호텔 방으로 판매하거나 정부나 과학 기관의 연구용 시설로 임대할 수 있다.
디자이너는 호텔의 실내 장식은 석재나 목재 대신 가볍고 청소하기 간편한 자재를 사용해 만들 것이라면서 따뜻한 색상의 조명과 페인트, 텍스쳐가 편안한 느낌을 더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그뿐만 아니라 이곳에는 운동이나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시설도 마련될 것이다. 저중력 상태에서 농구나 트램펄린 또는 암벽등반 등을 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주정거장 건설은 드론과 로봇 같은 자동화된 시스템을 궤도 위에 올려 진행하고 게이트웨이 재단의 일부 회원이 설립한 우주건설회사 ‘오비탈 어셈블리’가 개발한 특수 건설장비 GSAL을 활용할 계획이라고 이 관계자는 설명했다.
또한 그는 우주여행은 처음에 부유층을 위한 영역이 되겠지만, 곧 일반인들이 이용하리라 생각한다면서 수요가 많아지면 더 큰 우주정거장을 건설할 것이라고 말했다.
게이트웨이 재단은 이미 다음 정거장에 관한 계획까지 세워놨다. ‘더 게이트웨이’로 이름 붙여진 이 시설은 1400명이 넘는 사람을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 기후.환경재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풍 '미탁' 비상..개천절 아침 전남 서해안 상륙·남부 관통 (0) | 2019.09.30 |
---|---|
갈아서 버리면 끝? 환경 망치는 불법 '음식물 분쇄기' (0) | 2019.09.15 |
후쿠시마 바닷물 싣고 온 선박들..우리 바다에 128만t 방류 (0) | 2019.08.21 |
[고든 정의 TECH+] 'D램 넘버 3' 생존을 위한 마이크론의 미래 전략 (0) | 2019.08.20 |
해저도시 건설-①우주정거장도 있는데 해저도시는 없어?[과학을읽다] (0) | 2019.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