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 유성운 기자
정치권에서 안철수 전 바른미래당 인재영입위원장의 정계 복귀에 이목이 집중되는 가운데 지지층도 다양한 온·오프라인 방식을 통해 적극적인 복귀운동에 나서고 있다.
최근 온라인상에선 ‘안철수의 예언’이라는 제목의 동영상과 게시물이 퍼져 화제가 됐다. 안 전 위원장은 국민의당 대선후보 시절인 2017년 5월 1일 인천 남구에서 유세 중 “문재인 후보를 뽑으면 어떤 세상이 될지 상상해보라”며 “3가지 일이 생길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첫째, 국민들이 반으로 나뉘어서 분열되고 사생결단을 내는 등 5년 내내 싸우게 될 것이다. 자기를 지지하지 않는 국민을 적폐라고 돌리고 국민을 적으로 삼고 악으로 생각하는데 어떻게 나라가 통합되겠느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두 번째는 무능하고 부패한 정권이 된다. 계파 세력은 끼리끼리 나눠먹는다”면서 “정말 유능한 사람이 많은데 계파 세력은 정권을 잡으면 줄을 잘 서고 말을 잘 듣는 사람만 쓴다”고 말했다.
최근 온라인상에선 ‘안철수의 예언’이라는 제목의 동영상과 게시물이 퍼져 화제가 됐다. 안 전 위원장은 국민의당 대선후보 시절인 2017년 5월 1일 인천 남구에서 유세 중 “문재인 후보를 뽑으면 어떤 세상이 될지 상상해보라”며 “3가지 일이 생길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첫째, 국민들이 반으로 나뉘어서 분열되고 사생결단을 내는 등 5년 내내 싸우게 될 것이다. 자기를 지지하지 않는 국민을 적폐라고 돌리고 국민을 적으로 삼고 악으로 생각하는데 어떻게 나라가 통합되겠느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두 번째는 무능하고 부패한 정권이 된다. 계파 세력은 끼리끼리 나눠먹는다”면서 “정말 유능한 사람이 많은데 계파 세력은 정권을 잡으면 줄을 잘 서고 말을 잘 듣는 사람만 쓴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세 번째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개념 없는 사람이 옛날 사고방식으로 국정운영을 하게 되면 대한민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뒤처지는 나라가 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는 당시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 시절 ‘3D’를 ‘삼디’라고 언급했던 일을 염두에 둔 것으로 추정된다.
안 전 위원장은 문 대통령의 예견되는 문제를 이같이 지적한 뒤 “저는 개혁 공동정부를 꾸려 계파와 이념, 지역에 얽매이지 않고 가장 능력 있는 사람을 쓰겠다”라면서 “그래서 역사상 가장 유능한 정권을 꼭 만들겠다”고 호소했지만 21.42%의 득표율로 3위에 그쳤다.
안 전 위원장의 지지자들은 24일엔 전국 주요 도시에 “오늘 그가 보고 싶습니다”라는 문장의 현수막을 전국 50여개 지역에서 내걸어 이목을 끌기도 했다. 현수막엔 안 전 위원장의 대선후보 시절 발언이 작은 글씨로 적었다.
안 전 위원장은 문 대통령의 예견되는 문제를 이같이 지적한 뒤 “저는 개혁 공동정부를 꾸려 계파와 이념, 지역에 얽매이지 않고 가장 능력 있는 사람을 쓰겠다”라면서 “그래서 역사상 가장 유능한 정권을 꼭 만들겠다”고 호소했지만 21.42%의 득표율로 3위에 그쳤다.
안 전 위원장의 지지자들은 24일엔 전국 주요 도시에 “오늘 그가 보고 싶습니다”라는 문장의 현수막을 전국 50여개 지역에서 내걸어 이목을 끌기도 했다. 현수막엔 안 전 위원장의 대선후보 시절 발언이 작은 글씨로 적었다.
◇안철수 지지자들의 현수막에 적힌 내용
문재인 후보가 당선되면,
첫째, 국민들이 분열되고 5년 내내 싸울 겁니다.
둘째, 무능하고 부패한 정권이 되고 맙니다.
셋째, 세계에서 가장 뒤쳐지는 나라가 됩니다.
첫째, 국민들이 분열되고 5년 내내 싸울 겁니다.
둘째, 무능하고 부패한 정권이 되고 맙니다.
셋째, 세계에서 가장 뒤쳐지는 나라가 됩니다.
한편 야권에선 지난해 지방선거 패배 후 독일에서 체류 중인 안 전 위원장의 정치 복귀 가능성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안 전 위원장 측은 『안철수, 내가 달리기를 하며 배운 것들』이라는 신간 서적을 낼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
이 책엔 안 전 위원장이 마라톤을 통해 배운 인생과 깨달음의 이야기가 수록된다고 한다. 또, 29일엔 베를린 마라톤대회 풀코스를 완주했다는 소식도 알렸다. 다만 정치 복귀 시기에 대해선 여전히 확답을 내놓지 않았다.
유성운 기자 pirate@joongang.co.kr
유성운 기자 pirat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