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정기 사장단 인사에서 2015년 이후 가장 적은 수준으로 오직 2명만이 승진 명단에 오른 것과 비교하면 두 배 가량 확장된 인사 규모다.
삼성전자가 통상적으로 연말에 진행하던 정기 사장단 인사 발표가 2020년 1월 말인 오늘 20일까지 한 달 가량 미뤄지면서 삼성전자가 큰 변화 없이 기존 체제를 유지할 것이라는 예측에 무게가 실렸지만 사장 4인의 승진과 기존 사장단의 업부 변경 내용을 고려하면 '작지만 큰 변화'를 야기한 모습이다.
김기남 DS(디바이스솔루션)부문장 부회장, 김현석 CE부문장 사장, 고동진 IM부문장 사장이 각각 반도체, 소비자 가전, 모바일을 담당하는 3인의 대표이사 체제는 유지하면서 고동진 사장이 겸임하던 무선사업부를 독립시킨 것이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업의 리더와 흐름의 변화를 이야기한다.
![](http://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idx=3&simg=202001201254010728455469ec13121011312177.jpg)
13일 수원 '삼성 디지털시티'에서 열린 '삼성전자 준법실천 서약식'에 참석한 삼성전자 대표이사들이 서약서에 서명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현석 삼성전자 사장, 김기남 부회장, 고동진 사장)/사진=삼성전자
이미지 확대보기삼성전자는 갤럭시 S10, 갤럭시 노트10 개발을 이끌었다고 평가받는 엔지니어 노태문 사장이 스마트폰 시장 경쟁 심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참신한 전략으로 다시 한 번 갤럭시 신화를 써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알려진다.
![](http://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idx=3&simg=202001201254210213555469ec13121011312177.jpg)
노태문 삼성전자 IM부문 무선사업부장 사장/사진=삼성전자
![](http://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idx=3&simg=202001201254450420055469ec13121011312177.jpg)
전경훈 삼성전자 IM부문 네트워크사업부장 사장/사진=삼성전자
포항공대 전자전기공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삼성전자 DMC연구소 차세대연구팀장으로 자리한 전 사장은 네트워크사업부 개발팀장, 네트워크사업부장을 맡으며 통신 전문가로 역량을 펼쳐왔다고 전해진다.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장 사장으로 승진한 황성우 사장 또한 미래 신기술 발굴, 전자 분야 연구개발 역량 제고에 기여하여 승진했다고 평가받으며 김기남 부회장이 역임한 종합기술원장 자리에 올라 김 부회장을 뒤를 이어 연구개발 경쟁력 강화 임무를 수행한다.
사장으로 승진한 최윤호 경영지원실장과 박학규 DS부문 사장, 두 인물은 재무 전문가로 미중 무역분쟁, 한일 무역분쟁 등 수출 등의 문제가 산재된 상황 속에서 재무적 관점에서 대응할 수 있는 인사로 여겨진다.
한편, 이인용 삼성 사회공헌업무총괄 고문이 삼성전자 CR담당 사장으로 현업에 복귀하는 점 또한 화제를 모은다.
이 사장은 MBC 앵커 출신으로 2005년 삼성전자 홍보팀장(당시 전무)로 입사한 이후 대외협력 업무를 총괄했으며 2012년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커뮤니케이션 팀장 사장으로 승진한 바 있다.
이후 이 사장은 2017년 이재용 부회장의 국정농단 사태로 인한 구속 등 삼성그룹 전반에 위기의 그림자가 도래하자 현업에서 물러나 사회공헌 업무를 담당하는 고문 역할을 했고 2020년 출범한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에서 7명의 위원 중 유일한 사내 위원 자리를 맡았다.
업계는 이 사장이 삼성전자 CR담당 사장으로 현업에 복귀하는 점이 준법감시위원회 활동과 관련있다고 분석하며 이재용 부회장의 파기환송심 재판부가 요구한 준법감시 체제 강화를 위해 삼성이 도입한 준법감시위원회 위원 역할과 함께 대외협력 역량 강화 임무를 수행하리라고 예상한다.
오승혁 기자 osh040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