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iframe width="760" height="560" src="https://www.youtube.com/embed/bDp_UBovguQ?list=RDCMUCR1DO0CfDNPVdObksAx508A"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미
- 다음 불로그
Archives
- Today
- Total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 MIT 연구결과! 중국의 흑사병 같이 무섭게 전염되는 것, 한국의 ____이다. 본문
♧ MIT 연구결과! 중국의 흑사병 같이 무섭게 전염되는 것, 한국의 ____이다.게시일: 2019. 11. 24. 중국에서 흑사병 확진 환자 두 명이 발생했죠? 그런데 MIT 연구진이 최근 이런 어마어마한 전염력의 흑사병과 한국을 대표하는 이것이 전염방식이 똑같다는 결과를 논문으로 내놓았습니다. 이게 대체 무슨 이야기일까요? #디쿨멘터리 #흑사병 #흑사병페스트 #중국네이멍자치구 #베이징 #중세유럽 #아프리카마다가스카르 Cool Issue 다시보기 :: http://shorturl.at/myKWX Coolna BTS 다시보기 :: http://shorturl.at/ghFPU ? Twitch :: https://www.twitch.tv/directorcoolna ? Subscribe :: https://goo.gl/7yu2FR ? Facebook :: https://www.facebook.com/coolnakim ? Instagram :: https://instagram.com/CoolnaKim ? business inquiry :: kimcoolna@gmail.com ? 후원/Donation :: 하나은행 Hana Bank 348-910419-44807 더쿨리스트 ** 중국 흑사병 주사파가 숨기는 이유! (이인배 협력안보연구원장) / 신의한수
게시일: 2019. 11. 23. *** [과학본색] ② 흑사병, 얼마나 위험한가? / YTN 사이언스 게시일: 2019. 11. 15. ■ 이혜리 / 과학뉴스팀 기자 [앵커] 다음 소식으로 또 넘어가 보죠? [기자] 네, 최근 흑사병이 중국에서 발견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국내에도 불안 섞인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는데요. 중국에서 발병한 흑사병이 과연 국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지,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앵커] 네, 중국에서 두 명의 흑사병 환자가 발생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는데, 페스트라고 하잖아요. 과거 유럽부터 시작해서 인류 역사에 엄청난 공포를 가져다준 질병으로 알고 있는데, 그래서 그런지 지금 말만 들어도 사실 좀 무섭다는 생각이 들기는 해요. [기자] 네, 흑사병으로 13∼14세기 유럽 인구의 3분 1을 사망시켰을 정도로, 정말 악명 높은 전염병입니다. 때문에 막연한 두려움을 갖고 계신 분들도 참 많을 것 같은데요. 물론, 상황을 면밀하게 보고, 대응할 필요는 있겠습니다만, 흑사병이 대유행했던 중세 유럽보단, 당연히 현대 의학이 크게 발달했기 때문에 큰 두려움을 가질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앵커] 저는 사실 이번에 중국에서 흑사병 환자가 발생했다는 보도를 봤을 때, 좀 놀랐던 게 이미 현대에 와서 흑사병이 어느 정도 정복이 됐거나 치료제라도 나왔을 줄 알았어요. 근데 그렇지 않다고요? [기자] 네, 우선 1990년대 이후에 주로 아프리카에서 발생하고 있고요, 최근에는 콩고민주공화국이나 마다가스카르, 페루에서 종종 발생하고 있습니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3천 2백여 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5백 80여 명이 숨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중국만 보면 2010년에서 2015년 사이 페스트 환자가 10명 발생해 5명이 사망했고요, 국내에선 페스트 환자가 발생한 적이 없습니다. [앵커] 아직도 있다는 얘기는 처음 듣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사실 흑사병을 무서운 전염병인 건 알지만 정확히 어떤 병인지는 잘 모르는 것 같습니다. 이게 어떤 병인가요? [기자] 흑사병, 페스트는 페스트균이 일으키는 전염병입니다. 감염 경로는 풍토병 지역에서 감염된 쥐벼룩에 의해 전파가 됩니다. 즉, 페스트균이 쥐벼룩에 숨어있다가 사람의 피를 빨아먹을 때 세균이 침투하는 원리입니다. 흑사병으로 폐사한 야생동물 주변을 기생하던 벼룩이 사람에게 옮겨지면서 감염이 되는 건데요. 꼭 쥐벼룩에게 물리지 않더라도 감염된 동물이나 사체를 취급하게 되면 체액 등의 어떤 접촉을 통해서 감염될 수 있고요, 흑사병 환자에게서 나오는 고름이나 침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습니다. 보통은 흑사병을 한 종류로만 알고 계시는 경우가 많은데요. 흑사병에도 종류가 있습니다. 우선 흑사병은 증상에 따라서 구분이 되는데요. 가장 흔한 형태는 림프절 페스트가 있고요, 또 호흡기관인 폐가 직접 감염된 경우인 '폐 페스트'도 있습니다. 이번에 중국에서 발병한 페스트는 이 '폐 페스트'로 알려졌고요. 우선 림프절 페스트의 경우에는 감염된 쥐벼룩에 물리고 최대 일주일의 잠복기 후에 물린 곳 주변으로 통증을 동반한 부종이 나타납니다. 이어 발열, 오한, 근육통,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요. 때로는 극심한 피로와 함께 심장이 빨리 뛰는 빈맥이 생기거나 쇼크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림프절 페스트 환자에서는 말단부의 흑색 괴사가 외견상 쉽게 관찰되기도 하는데요. 이로 인해 페스트가 흑사병, black death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폐 페스트'의 경우에는 대게 감염된 환자나 동물의 호흡기 분비물로 인해서 감염되는데요. 잠복기가 하루나 4일, 짧게는 하루에도 금방 나타나기 때문에 좀 더 공격적인 양상을 보입니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 카테고리 과학기술
'⛄⛄ 팬데믹.보건위생.백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우한코로나바이러스 너는 계획이 다 있었구나 20200320[김정민박사] (0) | 2020.04.07 |
---|---|
♧ 절대 방전되지 않는 퀀텀 배터리 (0) | 2020.04.06 |
◑ 코로나바이러스 전염병은 연막전입니다 (0) | 2020.04.06 |
◑ 호흡기의사가 알려주는 코로나걸려도 안죽는법 ◑ (0) | 2020.04.06 |
♠ 미국과 영국이 서로 빨리 확보하려는 제품이 있다. (0) | 2020.04.06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