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iframe width="760" height="560" src="https://www.youtube.com/embed/bDp_UBovguQ?list=RDCMUCR1DO0CfDNPVdObksAx508A"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다음 불로그
- 미
- Today
- Total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현미경 영상화 기술로 차세대 배터리 개발 길 연다 / YTN 사이언스 본문
현미경 영상화 기술로 차세대 배터리 개발 길 연다 / YTN 사이언스
Ador38 2020. 6. 23. 19:22현미경 영상화 기술로 차세대 배터리 개발 길 연다 / YTN 사이언스
조회수 47회
•2020. 5. 20.
구독자 8.46천명
[앵커] 현재 쓰고 있는 전지 대부분이 리튬이온 전지인데요. 화재 위험을 없애고 충전 시간을 줄인 차세대 전지 기술 개발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우리 연구진이 고성능 현미경을 활용한 영상화 기술을 개발해 원천 기술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이정우 기자입니다.
[기자] 스마트폰과 전기자동차 등 여러 분야에 쓰이는 리튬이온 전지. 현재 가장 강력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ESS)로 활용되지만, 화재 위험과 충전시간이 문제입니다. 국내 연구진이 이런 문제가 없는 차세대 전지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사물을 10만 배 이상 확대하는 원자간력 현미경을 이용했습니다.
[김홍준 / KAIST 신소재공학과 박사 / 제1저자 : 표면에서 이온의 진동이나 아니면 표면의 마찰력 차이로 인한 신호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그 차이의 경향성을 파악해서 각 성분의 영역들의 차이를 확인하게 됩니다.]
배터리 전극의 구성 성분 분포를 3차원으로 파악하고 분석하는 영상화 기술이 핵심입니다. 위치에 따라 발생하는 검출 신호의 감도 차이로 구성 성분의 영역을 구별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기술을 통해 화재에 취약한 액체나 젤 형태의 전해질 대신 고체 전지로 차세대 전지를 개발하는 길을 열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홍승범 /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 각각의 물성들을 저희가 영상화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차세대 전지 기술을 고도화하는 데 기여 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차세대 전지뿐만 아니라 전기화학 소재개발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이번 연구는 미국화학회 에너지응용소재 저널에 실렸습니다.
YTN 이정우[leejwoo@ytn.co.kr]입니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
'📡 4차산업.보안.특허.AI.IT > 🔄 우주,재료,기계,생명공학.해양자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중국대기업 - 한국기업 통째로 인수하고 싶다 제안, 미 최고 대학병원들이 인정하자 세계 50개국 수출요청 쇄도하는 상황(전동식 호흡보호장치) (0) | 2020.06.24 |
---|---|
일본이 세계 시장을 독점한 FMM, 신공법으로 세계최초 UHD급 개발해서 석권하겠다. (0) | 2020.06.23 |
일, 미쓰이 케미컬 독점 갑질에 속수무책 당한 한국기업의 분노. 두텁게 심어논 특허암초, 뛰어넘고 4년만에 양산 성공 (0) | 2020.06.23 |
한국이 핵잠수함을 획득하는 방법 / 민간 탐사용 핵잠수함을 건조하는 러시아 (0) | 2020.06.23 |
고용량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조 기술 개발 (0) | 2020.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