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다음 불로그
- 미
- <iframe width="760" height="560" src="https://www.youtube.com/embed/bDp_UBovguQ?list=RDCMUCR1DO0CfDNPVdObksAx508A"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Today
- Total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 삼성 OLED, 온실가스 11만톤 감축…"1700만그루 숲 효과" 본문
심재현 기자
2021.06.21. 11:20
"동식이 형, 안녕" 쿠팡 화재 순직… 김동식 구조대장 눈물의 영결식
‘코로나 세균 배양접시’라던 크루즈… 15개월만에 마이애미에서 운항 재개
© MoneyToday 삼성 OLED, 온실가스 11만톤 감축…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해 생산한 스마트폰, 노트북, 스마트워치용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의 총 전력 소비량이 2017년 소비량의 약 30% 수준인 239GWh 감소했다고 21일 밝혔다.
11만톤의 온실가스를 절감한 것과 맞먹는 수치다. 축구장 5600여개 면적에 1700만 그루의 소나무 숲을 조성했을 때 흡수할 수 있는 탄소량과 비슷하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연간 4억대가량의 OLED를 생산, 2018년과 2019년에도 2017년 대비 각각 4만톤, 8만톤에 이르는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거뒀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런 성과의 배경으로 독보적인 저전력 OLED 기술을 꼽는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매년 발광 효율을 높인 OLED 유기재료를 새로 선보이면서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에 채용되는 패널의 소비전력을 낮추는 데 기여했다.
영상이나 사진의 종류에 따라 주사율이 변하면서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어댑티브 프리퀀시(가변주사율)'도 개발해 저전력 OLED 기술을 한단계 개선했다.
삼성디스플레이 관계자는 "전자기기, 특히 모바일 기기의 소비전력은 편의성뿐 아니라 지구온난화 측면에서도 중요한 문제"라며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제품생산을 위해 저전력, 친환경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달 말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 글로벌 스탠다드에 걸맞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강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