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국기인 태극기는 언제 등장했을까요?
행정안전부와 한국근현대사사전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국기제정에 대한 논의가 처음 있었던 것은 1876년(고종 13) 1월이었습니다.
운양호(운요호) 사건을 계기로 한일간에 강화도 조약 체결이 논의되는 동안, 일본 측은 '운양호에는 엄연히 일본 국기가 게양돼 있었는데, 왜 포격했느냐?'며 트집을 잡았지만, 조선 측은 '국기'가 무엇을 뜻하는지 알 수 없었습니다.
운양호 사건은 일본 군함 운양호가 포함외교의 일환으로, 1875년 9월 조선 해안을 탐측하고자 왔다고 핑계 대고 강화도 앞바다에 불법 침투, 경비 중인 조선 수군의 방어적 공격을 받자 함포공격으로 보복하고서 퇴각한 사건입니다.
이 일을 계기로 조정은 비로소 국기제정의 필요성을 활발히 논의했습니다.
이어 1882년 8월 수신사 박영효 등 일행이 인천에서 배를 타고 도일할 때 당장 게양해야 할 국기가 있어야겠다고 생각하고 그전에 조정에서 대체로 정해놓은 국기 도안을 약간 고쳐 태극사괘 도안이 그려진 기를 만들었습니다.
수신사 일행은 같은 해 8월 14일 고베(神戶)에 도착해 숙소건물 지붕 위에 이 기를 게양했는데, 이것이 태극기의 효시입니다. 이것을 조정에서 1883년 3월 6일 국기로 채택, 공포했습니다.
이후 태극기는 우여곡절을 겪습니다. 1910년 8월 경술국치로 대한제국이 망하자 사용할 수 없게 됐죠. 그러나 일제강점기 태극기는 독립운동의 상징이 돼 1919년 3월 1일 3·1 운동이 일어나면서 전국적인 만세시위에 사용됐습니다. 일제는 태극기의 제조와 소지를 금지했습니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선언과 함께 태극기 사용이 자유로워졌습니다. 1948년 7월 제헌국회는 대한민국 국기로 태극기를 채택했습니다.
태극기는 흰색 바탕에 가운데 태극문양과 네 모서리의 건곤감리(乾坤坎離) 4괘(四卦)로 구성돼 있습니다. 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 그리고 전통적으로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의 민족성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가운데의 태극문양은 음(陰:파랑)과 양(陽:빨강)의 조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우주 만물이 음양의 상호작용으로 생성하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를 형상화한 것입니다.
네 모서리의 4괘는 음과 양이 서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모습을 효(爻:음,양)의 조합을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그 가운데
'건'괘(태극기 왼쪽 위)는 우주 만물 중에서 하늘을,
'곤'괘(오른쪽 아래)는 땅을,
'감'괘(오른쪽 위)는 물을,
'리'괘(왼쪽 아래)는 불을 각각 상징합니다.
이들 4괘는 태극을 중심으로 통일의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유창엽 기자 김서현 인턴기자
yct9423@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