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다음 불로그
- <iframe width="760" height="560" src="https://www.youtube.com/embed/bDp_UBovguQ?list=RDCMUCR1DO0CfDNPVdObksAx508A"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미
- Today
- Total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K-원전 13년만 쾌거…힘 실리는 ‘60조’ 수주전 본문
1시간 전
[아시아경제 세종=이준형 기자] "예상치 못한 돌발 변수에 녹록지 않았다."
이집트 엘다바 원자력발전 사업 수주에 대한 한국수력원자력 내부 관계자의 평가다. 한수원은 지난해 말 단독 협상대상자로 선정됐을 당시 올 4월 말 정식 계약이 체결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본계약 체결을 위한 막바지 작업 중 우크라이나 사태가 터지면서 협상이 꼬였다. 엘다바 원전 주 사업자가 러시아 국영 원전기업 로사톰 자회사인 JSC ASE였기 때문이다.
대규모 자금 조달이 필요한 원전 사업을 목전에 두고 미국 등 주요국이 대러시아 금융 제재를 강화했다는 점도 걸림돌이 됐다. 이에 러시아의 국영기업인 JSC ASE측이 한수원과 수조원대 규모의 계약을 체결하긴 쉽지 않을 것이란 부정적 관측도 나왔다.
美·佛도 참여…韓 원전산업 ‘단비’
하지만 러시아 입장에서 한국만한 원전 파트너를 찾기 힘들었다는 평가다.
한국은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을 통해 사막 원전 경험을 쌓았기 때문이다. 한국은 첫 수출 원전인 바라카 원전 1·2호기를 지난해부터 순차적으로 가동하며 사막 원전 건설 및 운영 능력을 성공적으로 입증했다. 엘다바 원전도 사막에 짓는 원전인 만큼 한국이 UAE에서 쌓은 노하우가 강력한 경쟁력으로 작용한 셈이다.
서방 기업들이 엘다바 원전 건설에 참여한다는 점도 한수원이 무사히 사업을 수주할 수 있었던 배경이 됐다. 엘다바 사업에는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 프랑스 아시스템(Assystem) 등 서방 주요국 기업도 적지 않게 참여한다.
정재훈 한수원 사장도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엘다바) 프로젝트에는 미국 등 우방국 기업들도 많이 참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재인 정부 ‘탈원전’ 정책으로 고사 위기에 몰렸던 국내 원전 기업들은 이번 수출로 단비를 맞게 됐다. 한수원이 수주한 엘다바 원전 2차 건설은 전체 사업 규모(300억달러)의 5~10%다. 한수원 몫만 최소 2조원이 넘는 데다 국내 기업 부품이 다수 공급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원전 업계가 입을 ‘낙수효과’는 작지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당장 엘다바 원전 시공은 국내 굴지의 원전 기업인 두산에너빌리티가 맡을 계획이다. 200개가 넘는 두산에너빌리티 협력사들도 일감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K-원전 경쟁력 입증…"공급망 복원 시급"
정부가 목표로 한 60조원 규모의 원전 수주전에도 힘이 실린다. 정부는 이미 8조원 규모의 체코 두코바니 원전 사업에 출사표를 던진 상태다. 폴란드가 추진 중인 40조원 규모의 신규 원전 건설 사업도 정부가 노리는 프로젝트 중 하나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6월 첫 해외 출장지로 체코와 폴란드를 찾아 ‘원전 세일즈’를 펼친 것도 그래서다. 이같은 세일즈에 힘입어 체코 정부는 한국형 원전(APR-1400)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우디아라비아 원전 사업을 수주할 가능성도 높아졌다. 앞서 사우디는 지난 5월 한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등 4개국에 12조원 규모의 원전 건설 의사를 타진하는 입찰참여요청서를 보냈다.
사우디 정부는 2030년까지 1400MW 규모의 원전 2기를 건설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원전 업계는 사우디 원전 수주전이 한국, 러시아 등 2파전으로 압축될 것으로 보고 있다. 프랑스는 원전 건설 단가가 비교적 높고 중국은 사막 원전 경험이 전무해서다.
원전 수주전에 속도를 내려면 국내 공급망 복원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내 원전 산업 매출액은 2016년 27조원에서 2020년 22조원으로 5조원 감소했다. 같은 기간 두산에너빌리티의 원전 분야 협력사 수는 320개에서 227개로 100개 가까이 줄었다.
현재 상황으로는 해외 원전 사업을 수주해도 국내 공급망이 제대로 뒷받침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이에 정부는 연내 원전 업계에 1306억원 규모의 긴급 일감을 발주해 생태계 회복을 돕겠다는 입장이다.
정부의 원전 수출 전담 인력을 보강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주무부처인 산업부에서 원전 수출 업무를 전담하는 조직은 8명 규모의 1개 ‘과(課)’에 불과하다. 과 단위 조직 1개만으로는 2030년까지 원전 10기를 수출하겠다는 정부의 야심찬 구상을 현실화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
‘원전수출국’ 신설이 동력을 잃었다는 점도 우려를 키우고 있다. 현 정부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시절 원전 수출을 지원하는 ‘원전수출진흥과’를 ‘국(局)’ 단위 조직으로 확대 개편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이르면 연내 국 단위 조직을 신설하고 정부 원전 수출 컨트롤타워의 실무 총괄을 맡긴다는 구상이었다.
하지만 정부는 지난달 말 국정과제 이행계획서 최종본을 확정하며 원전수출국 신설안을 제외했다. 정부 조직을 ‘슬림화’하는 국정 기조에 맞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세종=이준형 기자 gils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