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췌장암, 이젠 겁먹고 포기하는 병 아니다" 본문

👴🧓 의료(암.당뇨.치매 등)개인정보.운전.

"췌장암, 이젠 겁먹고 포기하는 병 아니다"

Ador38 2016. 11. 8. 11:03

"췌장암, 이젠 겁먹고 포기하는 병 아니다"


  한국일보 | 권대익 | 입력 2016.11.08 05:08



절제 가능한 췌장암은 45%까지 생존

췌장암에 걸리면 모두 사망한다고 여기는 사람이 적지 않지만 최근 의술과 약물의 발전으로 절제 가능한 췌장암의 경우 5년 생존율이 25~45%나 된다. 췌장의 모습. 게티이미지뱅크
췌장암에 걸리면 모두 사망한다고 여기는 사람이 적지 않지만 최근 의술과 약물의 발전으로 절제 가능한 췌장암의 경우 5년 생존율이 25~45%나 된다. 췌장의 모습. 게티이미지뱅크

“일단 걸리면 죽는다”, “수술해도 얼마 못 살아” …. 췌장암 환자가 주위사람에게서 주로 듣는 말이다. 췌장암이 치료가 어려운 불치병인 것은 사실이다. 체중 감소, 소화불량, 황달, 허리통증 등만 있지 이렇다 할 특별한 증상이 없는데다 몸 속 깊숙한 곳에 숨어 있어 조기 발견이 매우 어려워 75% 이상이 수술 불가능한 3, 4기에서 진단되기 때문이다.


그만큼 사망률이 높고 예후가 나쁘다. 우리나라에서 매년 5,000명 정도가 걸려 비록 암 발생 순위는 9위이지만 5년 생존율이 9.4%로 최하위다(국가암정보센터). 20년 전이나 현재나 변함없이 생존율이 암 가운데 꼴찌다.


그래서 췌장암에 걸리면 상심해 대부분 치료를 포기하게 된다. 하지만 췌장암은 불치병이 아니라 난치병이 되고 있다. 이동기 강남세브란스병원 췌담도내과 교수도 “췌장암에 걸렸다고 겁을 먹고 포기할 병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17일은 제3회 ‘세계 췌장암의 날’이자 제2회 ‘한국 췌장암의 날’이기도 하다. 김선회 한국췌장암네트워크 대표(서울대병원 외과 교수)는 “대한췌담도학회, 한국췌장외과연구회, 한국췌장암네트워크, 대한암학회 등 4개 단체는 17일 췌장암 인지도 제고와 대국민 인식개선을 위한 ‘췌장암의 날 퍼플 리본(purple ribbon) 캠페인’을 펼친다”고 했다.



췌장암이 의심되는 한 환자가 췌장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컴퓨터 단층촬영(CT)을 하고 있다. 췌장암은 크기가 2㎝ 미만이고 암세포가 혈관이나 다른 장기로 전이되지 않았다면 수술을 할 수 있다”분당서울대병원 제공
췌장암이 의심되는 한 환자가 췌장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컴퓨터 단층촬영(CT)을 하고 있다. 췌장암은 크기가 2㎝ 미만이고 암세포가 혈관이나 다른 장기로 전이되지 않았다면 수술을 할 수 있다”분당서울대병원 제공

췌장암에 걸리면 사망한다?

흔히 주위의 가까운 분이 췌장암에 걸렸다고 하면, 아무런 희망도 없는 것처럼 슬퍼한다. 하지만 이는 췌장암 전체에 해당하는 말이 아니다.

황진혁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예후가 나쁜 췌장암은 췌장에 걸리는 종양 중 악성 선암”이라며 “절제가 가능한 1, 2기 췌장암은 중간 생존기간이 전보다 많이 향상됐으며, 5년 생존율도 항암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10~15%에 지나지 않지만 항암치료를 하면 25~45%에 이를 정도로 좋아진다”고 했다.


전이되지 않았지만 수술 불가능한 3기 췌장암 환자도 적절히 치료를 받으면 25~35% 정도의 환자는 절제할 수 있기에 수술하기 어렵다고 해서 포기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 황 교수는 “4기 췌장암도 2011년 이후 여러 새로운 치료법이 나온 이후 평균 생존기간이 11개월 이상 향상됐고, 이후로도 더 성과를 나타내는 보고가 나오고 있어 췌장암을 ‘불치병’이라기보다 ‘난치병’으로 여기고 극복 가능한 암 가운데 하나로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동섭 강남세브란스병원 외과 교수는 “췌장암은 크기가 2㎝ 미만이고 암세포가 혈관이나 다른 장기로 전이되지 않았다면 수술을 할 수 있다”며 “요즘 의학시술이 발전하면서 70세 이상 고령인도 수술이 가능해졌다”고 했다.



한 환자가 췌장암의 전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양전자단층촬영-컴퓨터단층촬영(PET-CT)을 하고 있다. 의학기술발달로 4기 췌장암도 평균 생존율이 11개월 이상 길어졌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제공
한 환자가 췌장암의 전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양전자단층촬영-컴퓨터단층촬영(PET-CT)을 하고 있다. 의학기술발달로 4기 췌장암도 평균 생존율이 11개월 이상 길어졌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제공

당뇨병 환자, 췌장암에 잘 걸린다?

췌장암의 가장 중요한 징후로 당뇨병을 꼽는다. 췌장은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을 분비하는 기관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라는 논쟁처럼 당뇨병과 췌장암 관련 논쟁이 의학계에서 40년 넘게 계속되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결론은 이렇다. ‘당뇨병 환자에서도 췌장암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고(2배 가량), 반대로 췌장암에 걸린 환자에서도 새로 당뇨병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40세 이후에 갑자기 당뇨병이 생기거나 조절이 잘 되던 당뇨병 환자가 갑자기 혈당 조절이 되지 않으면 췌장암을 의심해봐야 한다.’


그러나 당뇨병 유병률에 비해 췌장암은 아주 미미하기 때문에 당뇨병에 걸렸다고 해서 췌장암에 걸린다고 걱정할 필요는 없다. 황 교수는 “성인이 돼 갑자기 당뇨병이 생기거나, 조절이 잘 되던 당뇨병 환자가 갑자기 혈당 조절이 되지 않으면 전문의와 상담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따라서 과도한 염려는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으므로 췌장암에 대해 막연한 두려움을 갖기 보다 규칙적인 운동 등으로 평소 건강관리에 힘쓰는 것이 좋다.


췌장암 환자에게 단백질은 독?

암 환자가 단백질을 먹으면 그 영양분을 암세포가 먹으니 더 위험하다는 얘기를 하는 사람이 있다. 이는 아주 잘못된 얘기다. 황 교수는 “4기 췌장암을 포함해 대부분의 암 환자는 잘 먹고 적절한 영양분을 섭취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했다.


최근 여러 연구에서 암 수술 전후, 혹은 항암치료기간 중 몸의 근육량을 유지하는 것이 생존에 직접적인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암 환자라고 모두 포기하고 먹는 것을 줄이고, 활동도 삼가는 것보다는 몸이 허락하는 한 잘 먹고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것이 생존기간뿐만 아니라 삶의 질에도 훨씬 도움이 된다.


또한, 일부 암 환자는 적절한 치료법을 외면하고 민간요법에 의지하기도 하는데 이는 아주 잘못된 선택이다. 황 교수는 “췌장암은 분명 난치병이지만 최근 면역치료제, 바이러스를 이용한 치료제, 표적항암제, 새로운 항암제 등이 연구ㆍ개발되고 있어 머지않은 장래에 췌장암은 극복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수술, 항암치료, 방사선 치료와 최근 도입된 몇몇 치료를 제외하고 췌장암 치료에 효과가 입증된 치료법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이럴 때 췌장암을 의심하세요>



-체중이 갑자기 줄고 황달이 나타난다.

-위ㆍ대장내시경 검사에서 이상이 없는데 복통이 계속된다.

-통증으로 똑바로 눕기가 힘들다.

-복부ㆍ허리ㆍ등 부위 통증이 심하다.

-식사 후 복부 통증으로 괴롭다.

-식욕이 없고 식사량이 줄었다.

-60세 이후에 당뇨병이 생겼다.


<췌장암 예방을 위한 수칙>



-금연, 특히 췌장암 가족력이 있다면 필수

-절주, 고 알코올 함량 독자가 더 위험

-비만예방, 평소 표준체중 유지에 노력

-운동, 적절한 운동은 모든 암예방 도움

-과다한 육류ㆍ고지방식ㆍ가공식품 줄이기

-현미ㆍ잡곡, 신선채소, 다양한 과일 섭취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