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탈원전 혜택 기대했는데.. 태양광 소재업체 웃지 못하는 이유 본문

🌈 기후.환경재해

탈원전 혜택 기대했는데.. 태양광 소재업체 웃지 못하는 이유

Ador38 2017. 7. 31. 21:58

탈원전 혜택 기대했는데.. 태양광 소재업체 웃지 못하는 이유

양지윤 입력 2017.07.31. 18:10 수정 2017.07.31. 20:05


폴리실리콘 전기료 비중 40% - 산업용 인상땐 원가상승 우려 "태양광설치량 연 3GW 넘어야
제조사 생산비 부담 줄어들어" 사드보복 여파 중국수출 9%↓ 현지기업 증설로 입지 축소도

[디지털타임스 양지윤 기자]태양광 소재 업체들이 새 정부의 '탈원전'으로 수혜를 받을 것이라는 분석에도 불구하고 표정이 어둡다. 태양광발전 보급이 늘어나지만, 정작 기초소재인 폴리실리콘 제조사들은 산업용 전력요금이 인상될 가능성이 높아 원가상승을 우려하고 있다.


여기에 폴리실리콘 최대 수출국인 중국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따른 무역 보복과 현지 기업들의 자급률 확대를 지속하고 있어 내우외환에 빠진 형국이다.


지난달 31일 중국무역협회가 조사한 폴리실리콘 수입현황에 따르면 올 1분기 중국기업들이 OCI와 한화케미칼 등 국내 기업에서 수입한 폴리실리콘은 1만5550만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9% 감소했다. 한국산과 경쟁 관계에 있는 독일산과 미국산의 수출량이 같은 기간에 각각 15%, 19% 증가한 것과 대조된다.


한국은 2014년부터 중국 폴리실리콘 시장에서 수입량 1위를 차지했으나 최근 판매가 위축하고 있다. 사드 배치를 껄끄럽게 여긴 중국 정부가 덤핑 판매를 빌미삼아 국내 기업을 압박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기업들은 2008년부터 2011년 3년간 대중국 수출이 10배 이상 성장한 데 이어 2014년부터 현지 시장점유율 1위를 지키고 있다.


중국이 전 세계 태양전지와 모듈 생산량의 80%를 차지하고 있어 국내 기업에 무역제재 조치를 하면 돌파구를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중국 토종 기업들이 폴리실리콘 공장의 증설을 추진하고 있는 점도 부담이다. 전 세계 생산능력 1위인 GCL과 통웨이솔라 등이 총 9만톤 규모의 신·증설을 추진하고 있어 국내 기업이 설 자리가 좁아지고 있다.


국내 경영 환경도 우호적이지 않다. 새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추진하면서 신재생에너지 보급확산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지만, 오히려 폴리실리콘 제조사들은 생산원가 상승을 우려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와 액화천연가스(LNG)의 비중을 늘리기 위해서는 전기요금을 인상해야 하는데, 산업용이 우선순위로 거론되고 있다.


폴리실리콘은 생산원가에서 전기요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40%에 달해 요금체계 개편이 현실화할 경우 원가상승으로 가격경쟁력이 약화한다. 전문가들은 국내 태양광발전 설치량이 연간 3GW를 넘어야 손해 보지 않는 장사를 할 것으로 본다. 하지만 내수 시장 규모는 매년 1GW대여서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강정화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산업용 전기요금이 오르면 태양광발전 가치사슬(밸류체인) 상에서 폴리실리콘 업체들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며 "국내 연간 설치규모가 최소 3GW 수준이어야 국내 제조사들의 생산비 부담이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양지윤기자 galileo@dt.co.kr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