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미
- 다음 불로그
- <iframe width="760" height="560" src="https://www.youtube.com/embed/bDp_UBovguQ?list=RDCMUCR1DO0CfDNPVdObksAx508A"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Today
- Total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취재후] 일감 쏠쏠 '농촌 드론' 뜬다..자격증도 열풍 본문
[취재후] 일감 쏠쏠 '농촌 드론' 뜬다..자격증도 열풍
이현기 입력 2017.07.31. 16:18 수정 2017.07.31. 16:26
'군용?' 나는 '농촌용'...드론의 새 모습
'드론'이란 이름은 최근 자주 접할 수 있어 친숙해졌다. 드론은 원래 군사 목적으로 개발돼 정찰을 하거나, 폭발물을 싣고 적 진지를 타격하는 무인항공기 개념으로 만들어졌다.
(군용 목적 드론 : 록히드 마틴의 ARES(Aerial Reconfigurable Embedded System).
1톤 이 넘는 무게를 싣고, 수백 km를 날아가 무인항공 타격기로 활동한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
최근 가장 많이 보는 드론은 경주용이나 촬영용으로 나온 30~50cm 남짓한 크기의 소형 드론이다.
오늘의 주인공은 제법 몸집이 크다. 전원을 켜면 프로펠러가 돌아가는 소리에 몸이 움찔하기도 하다. 교육장에서 쓰이는 연습용 드론이, 아무것도 싣지 않은 몸체 무게만 12kg이 넘는다. 성인 남성이 양팔로 휘감을 정도의 크기다.
만만치 않은 가격인데...인기 비결은?
일단 드론도, 드론을 배우는 것도 값이 꽤 나간다. 12kg이 넘기 때문에 국토교통부 인증 기관에서만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교육비만 400여만 원이 드는 데다, 방제용 드론 기기값은 제조사별로 1,000만~5,000만 원에 육박한다. 그럼에도 각 교육기관은 이미 몇 달 치 교육과정이 조기 마감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이미 올해 교육과정이 모두 마감된 곳도 있을 정도다.
또 방제 현장에서 활용할 때도 제약이 있다. '드론을 날린다'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드론은 전기충전식 배터리로 움직이는데, 대개 20,000mAh 2개를 탑재한다. 용량이 크지 않기 때문에 10분 정도면 새 배터리로 갈아 끼워줘야 한다. 때문에 실제 현장에선 미리 충전해온 배터리를 교체해가면서 작업하거나 직접 충전할 수 있도록 차량을 개조해 방제 현장에 대동해야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인기가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기존보다 편리해졌고, 수익성도 좋기 때문이다. 불편한 작업인 듯하지만, 예전에 트랙터를 끌고 다니던 때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일손을 덜 수 있다. 3~4명이 달라붙어도 만 평 정도 되면 하루가 빠듯한 작업량을 넉넉잡고도 1시간이면 해치울 수 있다.
대개 근처 농가가 모여 8ha(80000㎡, 24,000여 평) 정도 되는 작업을 서로 도우면서 했는데, 이 정도 규모면 나흘 이상씩 더위와 싸워야 했다. 논농사에서 방제는 모내기와 더불어 한 해 농사를 좌우하는 중요한 작업이라 소홀히 할 수도 없었다.
헬리콥터를 이용한 방제도 가능했다. 매우 빠른 속도로 방제가 가능하지만, 헬기 몸값이 기본 2억 원을 훌쩍 넘는 데다, 헬기 이동 차량까지 대동해야 하고, 조종도 어려웠던 측면이 있었다. 크기도, 조작도 간단해진 드론이 인기를 끄는 이유다.
일손 돕는 효자...농촌 드론 뜬다
드론을 이용하니 일사천리였다. 촬영에 들어가기 전, 시범을 보여준다며 가볍게 리모컨을 쓱쓱 만지니, 시동이 걸리면서 몸체 무게에 약통 무게까지 35~40kg에 달하는 드론이 논으로 용맹하게 날아갔다. 몇 차례 왕복하길 반복하더니 금세 땅에 착륙했다.
3300㎡(1,000평) 방제에 걸린 시간은 불과 6분 남짓. 마음먹고 날리면 1ha(약 3천 평) 방제에 10분이면 된다고 한다.
이렇게 3300㎡를 방제하면 2만~2만 5천 원을 받을 수 있다. 1ha면 7만 원 돈인데, 준비 작업까지 포함해 20분이면 된다. 일감도 쏠쏠하다. 담양군에서만 200ha 방제가 필요하고, 방제 기간에 농약을 3차례 쳐야 한다. 1개 군에서만 면적 600ha의 일감이 기다리고 있다. 광역 방제기간에만 돌아도 초기 투자비용 대부분을 회수할 수 있을 정도다. 그래서 인기가 많다.
직접 찾아가 본 곳은 전남 담양군의 방제 현장. 담양은 7월 마지막 주부터 다음 달(8월)까지 일주일마다 한 번씩 세 차례 방제한다. 친환경 농업이라 방제에 쓰이는 약도 친환경, 드론을 쓰면 ‘일손’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지만, 논에 뿌리는 농약의 양도 절반 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
공중에서 미세하게 분사해서 뿌리기 때문에, 지상에서 줄을 끌어와 뿌리는 것에 비해 약을 골고루, 적당량만 뿌릴 수 있다는 설명이다.
농협도 지난해 시범 운영을 거쳐, 드론 기체 4개를 구입하는 등 헬기 방제에서 드론 방제로 방향을 바꾸고 있다.
다양한 사연...자격증 열풍
1. '마을 대표'..."귀농 자격증"
농삿일에 쓰기 위해 자격증을 취득하러 오는 분들은 대개 방제 업체 종사자거나 마을 젊은이로서 '대표주자'다. 또는 수익성이 좋다고 보고 귀농하기 전 준비작업으로 자격증을 따러 오기도 한다. 기간을 좀 더 길게 보는 분들은 드론 교육사업도 괜찮을 것으로 내다보고 교관 자격까지 얻어내기도 한다.
2. 입대 앞둔 20대 청년..."드론 병과"
군·경, 소방. 드론의 활용도가 늘어나면서 드론을 조작할 수 있는 인재를 찾는 분야가 많아졌다. 실종자 수색부터 인명 구조, 산불 현장의 감시와 하천 측량까지. 일일이 많은 인력이 투입돼 직접 현장을 확인하면서 위험하기도, 시간이 많이 들기도 했던 분야에 드론이 등장했다.
입대까지 남은 기간에 드론 자격증을 취득해 드론 병과에도 지원해보겠다는 생각을 하는 20대, 그리고 운동선수에서 진로를 바꿔 드론 특기로 뽑는 직장에 지원하겠다는 20대도 있었다.
3. 코브라 헬기 조종사의 인생 2막.
비단 젊은이들만 드론이라는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는 것이 아니었다. 환갑을 넘긴 육군 코브라 헬기 조종사 출신도 드론을 배우고 있었다. 군에서 수십 년간 헬기를 조종하면서, 앞으로 유인 조종에서 무인 조종으로, 그리고 헬기가 아닌 다른 무언가로 비행체가 진화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고, 그 실마리를 드론에서 찾았다. 드론 교관 자격까지 취득한다는 생각이다.
교육기관 전국 14곳...'조기 마감'
12kg 이상 중형 드론은 전국 14곳. 국토부 인증 기관에서만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다. 지난해까지 7곳이었다가 지난 3월 3곳, 지난 5월 4곳 추가돼 14곳으로, 확산 속도만 보면 급증하고 있다.
교육기관은 특히 실기 교육 때 안전상 이유로 교육생 3명당 교관 1명씩을 배치해야 한다. 한 번에 수강할 수 있는 인원은 제한적이어서 1기수마다 12명 정도의 수료생이 나오고 있다. 현재 전국 14곳 교육기관에서 배출하는 드론 조종사는 1500명~2000명 정도다.
드론은 다방면으로 뻗어나가는 신 산업 중 하나다. 분야를 넓히다 농촌에서도 효자로 자리매김했다. 드론이 어디까지 날아갈지, 실생활로 스며들지 지켜봄직하다.
이현기기자 (goldman@kbs.co.kr)
'🌈 기후.환경재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 해군, 핵잠수함 전력 증강 서두른다 (0) | 2017.08.02 |
---|---|
**** 군함도의 가해자, 미쓰비시 중공업의 오늘 (0) | 2017.08.02 |
탈원전 혜택 기대했는데.. 태양광 소재업체 웃지 못하는 이유 (0) | 2017.07.31 |
[文-재계 둘째날] 황창규 KT 회장 "4차산업 인력부족..民官 교육센터 건의"(종합) (0) | 2017.07.30 |
[와우! 과학] 200페타바이트 과학 데이터 어떻게 저장할까? (0) | 2017.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