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iframe width="760" height="560" src="https://www.youtube.com/embed/bDp_UBovguQ?list=RDCMUCR1DO0CfDNPVdObksAx508A"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다음 불로그
- 미
Archives
- Today
- Total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 반야심경(般若心経)원문 - 영인스님 본문
게시일: 2012. 11. 13.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을 줄여서 반야심경 또는, 심경이라고도 한다.
반야심경은 六백부 반야경의 법문을 260자로 집약하여 만든 경전인데,
팔만대장경 가운데 260자밖에 안 되는 경전이지만, 장경의 진리를 가장 함축성 있게 간직한 경이라는 뜻으로
심경이라고 한다.
현재 한국 불교의 거의 모든 법회의식에서 독송되고 있으며, 반야부 경전 중에서도 가장 많이 읽히고 있는 경전이다.
원래 명칭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이며, 그 핵심은 역시 공사상(空思想이다.
이 세상의 모든 것이 실체가 없는 공임을 철저하게 터득함으로써 지혜를 뜻하는 반야를 얻어,
결국 정각(正覺)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경전을 살펴보면 관세음보살을 통해서 반야의 인격을 보였으며, 불생불멸(不生不滅)을 통해서 반야의 실상을 천명했고
보살과 부처님을 통해서 반야의 공덕을 나타내고 있다.
간추려보면 지혜의 눈으로 자기 마음속에 숨어있는 부처의 지혜광명을 개발함으로
온갖 무명번뇌의 업장과 죄악이 소멸되고 부처님의 해탈을 성취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법문인 것입니다.
그리고 반야바라밀에 대한 신앙과 발원으로 경전의 종반부를 이루고 있다.
우리가 현재 독송하는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은, 당나라 때 현장스님이 인도에서 가져온 불경을
한문으로 번역한 것이라고 한다.
'🌱 Ador 사색. 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소원성취기도】금전운 과 소원을 들어주는 불경(지장보살본원경 2시간56분) 지장경 (마음 편안한 곳 / buddhist Monk, GwangDeokTemple) (0) | 2019.11.10 |
---|---|
* 영인 스님, 우리말 반야심경, 般若心経 (0) | 2019.11.10 |
애수(哀愁)에 젖는 가을밤 1 (0) | 2019.11.09 |
* 여여하다 (0) | 2019.11.09 |
* 어떤 사이 (0) | 2019.11.09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