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다음 불로그
- 미
- <iframe width="760" height="560" src="https://www.youtube.com/embed/bDp_UBovguQ?list=RDCMUCR1DO0CfDNPVdObksAx508A"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Today
- Total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삼성 68조 늘고 롯데 5조 줄고..10대그룹 시가총액 '희비' 본문
삼성 68조 늘고 롯데 5조 줄고..10대그룹 시가총액 '희비'
입력 2019.11.10. 07:09 수정 2019.11.10. 17:02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올해 박스권 장세에서도 10대 그룹 가운데 삼성그룹 시가총액(이하 시총)이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0대 그룹 중 삼성을 포함해 SK와 현대자동차 그룹은 시총이 불어났지만, 나머지 7개 그룹은 시총이 쪼그라들었다.
10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기준 삼성그룹 상장사 16개 종목의 시총 합계는 434조8천730억원으로 연초(1월 2일)보다 68조1천924억원(18.60%) 증가했다.
16개 종목 가운데 시총이 늘어난 종목은 9개, 감소한 종목은 7개였다.
박스권 장세에서도 '대장주' 삼성전자는 그룹의 성장을 이끌었다. 지난달 말 삼성전자 시총은 300조8천770억원으로 연초와 비교할 때 69조5천480억원(30.06%) 증가했다.
삼성전기(13.00%)와 제일기획(10.99%)도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삼성화재와 삼성생명은 실적 악화로 주가가 하락하면서 시총이 각각 12.08%, 18.15% 줄었다.
SK그룹 19개 상장사의 지난달 말 시총은 연초보다 12.05% 증가한 120조9천975억원으로 집계됐다.
SK그룹에서도 반도체 업종인 SK하이닉스가 '맏형' 역할을 했다.
비록 실적은 지난해에 못 미쳤지만, SK하이닉스 시총은 44조1천169억원에서 59조6천962억원으로 35.31% 늘었다. 다만 석유화학 산업이 업황 부진에 빠지면서 SK케미칼 시총은 31.34% 감소했다.
현대차그룹 상장사 전체의 지난달 말 시총은 86조2천563억원이었다. 이는 연초보다 9조2천419억원(12.00%) 증가한 것이다.
현대위아(43.82%)와 기아차(29.73%), 현대모비스(25.96%) 등 자동차·자동차 부품업종을 주축으로 9개 종목 시총이 증가했으나 현대로템(-39.81%), 현대제철(-27.73%), 현대건설(-19.11%) 등 3개 종목이 전체 증가율을 깎아내렸다.
LG그룹 12개 상장사 시총은 연초 80조8794억원에서 지난달 말 79조9천156억원으로 1.19% 줄었다. 그룹 시총 순위는 10대 그룹 중 3위에서 4위로 밀려났다.
LG그룹 가운데는 전자 장비 기업인 LG이노텍(44.56%) 시총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LG생활건강(16.65%), LG전자(6.53%)도 힘을 보탰으나 LG유플러스(-25.07%), LG디스플레이(-23.31%) 등이 감소했다.
10대 그룹 가운데 가장 시총이 가장 많이 줄어든 것은 롯데였다.
롯데그룹의 시총은 20조8천391억원으로 5조6천879억원(21.44%)이 사라졌다.
도소매, 식료품 업종의 부진으로 롯데쇼핑(-38.52%), 롯데푸드(-38.45), 롯데하이마트(-34.67%), 롯데지주(-34.23%) 등의 시총이 30% 넘게 쪼그라들었다.
백화점과 식료품, 도소매업이 주력인 신세계그룹도 9조6천102억원에서 7조6천796억원으로 시총이 20.09% 줄었다. 특히 이마트 시총은 1조9천95억원(38.06%)이 증발했다.
한화그룹 시총은 12조1천328억원에서 9조1천770억원으로 24.36% 줄어 가장 높은 감소율을 기록했다. 보험업종의 실적 부진으로 한화생명과 한화손해보험 시총은 각각 47.09%, 52.55% 감소했다.
건설·조선업 불황으로 현대중공업 그룹도 고전했다. 현대중공업그룹의 지난달 말 시총 합계는 16조6천992억원으로 10개월 새 7.27% 줄었다.
지주사인 현대중공업지주(1.19%)를 제외하고 한국조선해양(-2.79%), 현대미포조선(-26.11%), 현대건설기계(-34.04%), 현대일렉트릭(-51.36%) 등 모든 상장사 시총이 감소했다.
철강 업황 불황을 반영하듯 포스코 그룹 시총은 10.45% 감소했다.
GS그룹도 GS건설(-26.11%)과 GS홈쇼핑(-14.04%) 시총이 급감하면서 전체 그룹주 시총이 7.75% 줄었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저성장 국면일수록 시장 점유율이 지배적인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의 격차가 벌어지기 마련"이라며 "삼성전자처럼 시장지배력이 확고한 기업이 다수 포진한 그룹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표] 10대 그룹 시가총액 증감률
(자료제공=에프앤가이드]
kihun@yna.co.kr
'🚦🚦 수리.생활경제(금융.보험.조세.주식.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가장 번거롭다는 '가리비' 10분안에 해감하는 꿀팁 (0) | 2019.11.25 |
---|---|
** 1조3천억에 K뷰티 사간 에스티로더..돈방석 앉은 청년 CEO들(종합) (0) | 2019.11.23 |
부동산 시장에도 단타족이…5년간 챙긴 차익이 `무려` (0) | 2019.10.31 |
정부 불허방침 불구…원베일리 `통매각`강행 (0) | 2019.10.31 |
[단독] 둔촌주공 "평당 분양가 3550만원"…HUG 기준보다 1000만원 높아 (0) | 2019.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