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다음 불로그
- 미
- <iframe width="760" height="560" src="https://www.youtube.com/embed/bDp_UBovguQ?list=RDCMUCR1DO0CfDNPVdObksAx508A"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Today
- Total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 호남계 "의석수 늘리자"..뒤늦게 천막 치게 한 시뮬레이션 본문
호남계 "의석수 늘리자"..뒤늦게 천막 치게 한 시뮬레이션
김경희 입력 2019.11.30. 05:01 수정 2019.11.30. 08:24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는 선거법은 크게 3가지다. 지역구와 비례대표 의석수로만 본다면 225대 75안, 240대 60안, 250대 50안 등이다. 여기에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하면서 연동률을 100%로 하느냐 50%로 하느냐에 따라 셈법이 또 달라진다. 특히 각 정당의 이해득실이 첨예하게 연관돼 있어 접점을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지금 당장 총선을 치른다면 국회 의석수 분포가 어떻게 될지 시뮬레이션을 해봤다. 실제 총선에서는 지역 구도나 후보자 면면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완벽한 예측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최소한의 유불리는 가늠할 수 있어, 각 정당이 연동률이나 의석수에 왜 목을 매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정당 득표율은 최근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정당 지지율로 대체했다. 각 정당이 확보할 지역구 의석수는 현재와 동일한 비율일 거라고 가정했다.
최근 한국당 의원 5명이 최근 의원직을 상실해 295명이 됐지만, 그대로 있다고 가정해 300명으로 계산했다. 여기에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에 따라 전체 의석 수 분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시뮬레이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뮬레이션 결과 현재 6석(지역구 2석, 비례대표 4석)인 정의당은 패스트트랙 선거법 적용 시 비례의석이 12석으로 늘어나 총 14석이 된다. 대안으로 논의되는 ‘250+50안’의 경우 연동률에 따라 최소 13석에서 최대 21석이다.
시뮬레이션 결과 지금처럼 정당 지지율이 저조할 경우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으로 인한 혜택은 기대하기 어렵다. 평화당은 지난 28일부터 ‘의석수 10% 확대 불가피’를 주장하며 국회 천막 농성을 시작했다.
한국당을 뺀 여야 4당이 지난 4월 합의한 선거법은 패스트트랙 절차를 거쳐 현재 국회 본회의에 부의돼 있다. 언제든 표결에 부칠 수 있는 상황이지만 지역구 축소에 대한 반감 때문에 통과가 쉽지 않다는 전망이다.
여야는 과반 찬성을 얻을 수 있는 수정안 마련을 위해 물밑 협상을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19대 국회에서는 선거일 50일 전에 선거법이 합의됐다.
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 Ador 사색. 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어느 노인의 유언장 외... (0) | 2019.12.03 |
---|---|
* 文, 주말 도올 책 3권 읽어 "재밌지만 참을성 필요, 일독 권해" (0) | 2019.12.02 |
* '베이비 박스' 목사 기초생활비 부정수급 정황..검찰 송치 (0) | 2019.11.30 |
연봉 1억인데 가난하다고?.. '도둑맞은 가난'인가 (0) | 2019.11.30 |
◐ 해외 직구할 때 꼭 알아야 할 체크리스트 (0) | 2019.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