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 호남계 "의석수 늘리자"..뒤늦게 천막 치게 한 시뮬레이션 본문

🌱 Ador 사색. 도서.

* 호남계 "의석수 늘리자"..뒤늦게 천막 치게 한 시뮬레이션

Ador38 2019. 11. 30. 09:29

호남계 "의석수 늘리자"..뒤늦게 천막 치게 한 시뮬레이션

김경희 입력 2019.11.30. 05:01 수정 2019.11.30. 08:24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는 선거법은 크게 3가지다. 지역구와 비례대표 의석수로만 본다면 225대 75안, 240대 60안, 250대 50안 등이다. 여기에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하면서 연동률을 100%로 하느냐 50%로 하느냐에 따라 셈법이 또 달라진다. 특히 각 정당의 이해득실이 첨예하게 연관돼 있어 접점을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지금 당장 총선을 치른다면 국회 의석수 분포가 어떻게 될지 시뮬레이션을 해봤다. 실제 총선에서는 지역 구도나 후보자 면면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완벽한 예측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최소한의 유불리는 가늠할 수 있어, 각 정당이 연동률이나 의석수에 왜 목을 매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정당 득표율은 최근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정당 지지율로 대체했다. 각 정당이 확보할 지역구 의석수는 현재와 동일한 비율일 거라고 가정했다.


최근 한국당 의원 5명이 최근 의원직을 상실해 295명이 됐지만, 그대로 있다고 가정해 300명으로 계산했다. 여기에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에 따라 전체 의석 수 분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시뮬레이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례대표 의석수, 연동률에 따른 정당별 의석 분포 시뮬레이션. 그래픽=신재민 기자

29일 리얼미터가 발표한 정당 지지율 조사 결과는 더불어민주당 39.7%, 자유한국당 33.4%, 정의당 6.3%, 바른미래당 4.7%, 민주평화당 1.4%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의석수는 민주당 129석, 한국당 108석, 바른미래당 28석. 정의당 6석, 민주평화당 4석이고 무소속 17명 중 대안신당(가칭)이 10석이다.

실제 총선에서는 정당 득표율 3% 이상이거나 지역구 의석수 5석 이상인 정당만 비례대표 의석 배분을 받게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우리공화당과 민중당 등 기타 정당은 배분 대상에서 제외했다.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쉽게 말해 정당 득표율이 국회 의석수에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정당 득표율은 높지만 지역구에서 당선자를 많이 배출하지 못한 정당에는 비례대표 의석을 그만큼 더 확보해준다는 얘기다. 정의당이 연동형 비례대표제에 사활을 거는 이유다.

심상정 정의당 대표, 윤소하 원내대표를 비롯한 정의당 당원들이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에서 여야4당 합의 정치·사법개혁법 통과를 위한 정의당 비상행동선포식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심상정 정의당 대표는 4당 합의 패스트트랙법의 조속한 국회 통과를 촉구했다.[뉴스1]

시뮬레이션 결과 현재 6석(지역구 2석, 비례대표 4석)인 정의당은 패스트트랙 선거법 적용 시 비례의석이 12석으로 늘어나 총 14석이 된다. 대안으로 논의되는 ‘250+50안’의 경우 연동률에 따라 최소 13석에서 최대 21석이다.
        
한편 민주평화당과, 여기서 떨어져 나온 대안신당(가칭), 그리고 바른미래당 당권파 등 호남 지역을 기반으로 한 의원들의 관심사는 의석수 확대다. 어떤 식으로든 지역구가 줄어든다면 인구수 대비 의석수가 많은 호남 지역이 가장 큰 타격을 입기 때문이다.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와 조배숙 원내대표가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앞에 천막을 치고 있다. 민주평화당은 국회 본청 앞에서 연동형 비례대표제 선거법 입법을 촉구하는 농성을 이어갈 예정이다. [뉴스1]

시뮬레이션 결과 지금처럼 정당 지지율이 저조할 경우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으로 인한 혜택은 기대하기 어렵다. 평화당은 지난 28일부터 ‘의석수 10% 확대 불가피’를 주장하며 국회 천막 농성을 시작했다.

정동영 평화당 대표는 "우리 주장은 300명 정원을 10% 늘리는 논의를 하기로 한 1년 전 합의에 기초해서 지역구를 손대지 말고 10% 증원해 330명으로 하자는 것"이라며 "국회의원 세비 삭감과 특권 삭감을 통해서 대국민 설득에 나서자"고 말했다.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와 대안신당 소속 박지원 의원도 의석수 확대의 불가피함을 주장하고 있다.
        

한국당을 뺀 여야 4당이 지난 4월 합의한 선거법은 패스트트랙 절차를 거쳐 현재 국회 본회의에 부의돼 있다. 언제든 표결에 부칠 수 있는 상황이지만 지역구 축소에 대한 반감 때문에 통과가 쉽지 않다는 전망이다.


여야는 과반 찬성을 얻을 수 있는 수정안 마련을 위해 물밑 협상을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19대 국회에서는 선거일 50일 전에 선거법이 합의됐다.


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