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2월 완공을 목표로 재건축 중인 서울 강남구 개포4단지(개포프레지던스자이). 난방용 연탄 아궁이를 쓴 아파트라는 기억을 남기고자 옛날 아파트 두 동을 그대로 남겼다. 한은화 기자
서울 송파구 잠실동 잠실주공5단지에서 추진되던 서울시의 ‘한 동 남기기’ 정책이 철회됐다. 지난달 16일 서울시에서 통과된 정비계획변경안에서 관련 내용이 빠진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시는 한 동을 기부채납(공공기여) 받아 문화시설로 바꾸는데 드는 돈으로 임대주택 37가구를 더 짓기로 계획을 바꿨다.
당초 서울시의 미래유산 보존 방침에 따라 잠실주공5단지의 30개 동 중 1개 동을 남기는 방안이 추진됐다. 기부채납 후보로 거론됐던 동은 한강 변에 위치한 523동이다.
서울시는 재건축할 때 523동을 문화시설로 단장하고 이 동을 포함한 주변을 공원으로 만든다는 계획을 세웠다. 다만 도시공원법상 공원 내 건물이 4층 높이를 초과할 수 없어 15층짜리 아파트를 잘라 4층까지만 남기려고 했다.
아파트 11개 층을 자르면서까지 있던 자리에 그대로 남기려고 했던 이유는 “중앙난방 시스템을 도입한 최초의 아파트”라는 의미 때문이다.
서울시의 방침을 토대로 잠실주공5단지는 2017년 재건축 아파트 최초로 국제설계공모전까지 열었지만, 당선작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못하는 등 여러 우여곡절로 사업이 멈췄다. 4년여가 흐른 뒤에서야 정비계획변경안이 서울시에서 통과됐고, 사업이 재개됐다.
서울시가 ‘한 동 남기기’를 추진하지 않기로 함에 따라 523동 역시 철거된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남긴 한 동을 문화시설로 쓰려면 운영 및 계획을 맡을 부서가 있어야 하는데 내부적으로 나서는 곳이 없었다”며 “잠실 일대를 ‘마이스(MICE) 산업’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에 따라 추가적인 문화시설은 필요 없다는 의견이 나와 공공임대주택으로 대체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개포주공4단지에 남겨진 두 동의 모습. 서울시는 최근 원형 보존 방침을 철회했다. 한은화 기자
어떤 절차를 거쳤어야 했나.
“공공성에 대한 논란이 큰 이슈인 만큼 절차적인 과정을 지키고 충분히 공론화됐어야 했다. 남겨야 할 아파트 한 동의 역사적 가치를 제대로 논의조차 못 했다.
현재는 남아 있지도 않은, 연탄아궁이를 썼던 아파트라는 이유로 보존해야 하는 걸까. 2018년 서울 연구원에서 이와 관련한 설문조사를 뒤늦게 하니 시민의 80%가 ‘한 동 남기기’가 필요 없다고 답했다.”
자발적 사업임을 강조했지만, 재산권 침해 논란이 컸다
“남겨진 동이 흉물이 되어 주거환경의 질을 낮춘다는 반발이 컸다. 이런 재산권 침해 논란을 넘어설 만큼 한 동 남기기를 통해 실현할 수 있는 공공성이 큰가를 살펴야 했다. 하지만 다른 의견을 말할 수 없는 분위기였다. 인허가권을 쥔 공공의 횡포였다.”
과거 유산을 남기는 것도 중요하지 않나
“유산을 남기자고 말하면 대다수가 동의한다. 하지만 어떤 유산을 남길지는 치열하게 논의해야 한다. 미래만 바라보며 과거를 부숴서는 안 된다고 뭉뚱그려 말할 것이 아니라 우리가 지켜야 할 것이 무엇인지 하나씩 따져야 한다. 도시계획 정책을 추진할 때는 여러 주관적인 갈등이 폭발한다.
그래서 합리적인 과정을 거쳐 선택하고 결정하는 절차가 정말 중요하다. 아파트 한 동 남기기는 그러지 못했다. 편향된 이념의 사람들이 독선으로 요구한 결과였다. 공정한 절차를 거치지 못할 만큼 강한 독선이었다.”
시행착오가 있다고 중단해선 안 된다
안창모 교수는 ‘한 동 남기기’ 정책을 지지한다. 안 교수는 “심사숙고해서 결정된 안들이 순식간에 바뀌는 것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보존 결정을 내린 아파트의 주거사적 가치가 충분하다는 의견이었다.
왜 남겨야 하는가
“잠실·반포 등은 강남개발 역사의 시작점이었다. 잠실5단지의 경우 중산층을 위한 첫 고층아파트였다. 유산이라고 하면 찬란하고 아름다운 문화유산만 떠올린다. 하지만 미우나 고우나, 오늘날 한국을 만드는 데 기여한 것이 아파트다. 한국사회의 핵심적인 장소이자 건물이며 우리의 유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