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resxY/btrxILKdzyz/vAYkLASCV7gotY09tkhG4k/img.png)
(제주=연합뉴스) 백나용 기자 = 제주지역 태양광발전소에서 전력 과잉 생산으로 또다시 가동을 멈추는 상황이 발생했다.
![](https://blog.kakaocdn.net/dn/blCWpb/btrxNYaXFfO/0q3x1HmmsPIkhUfbarT11k/img.jpg)
28일 전력거래소 제주본부와 제주도에 따르면 전날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까지 4시간 동안 도내 공공 태양광 발전소 13곳과 민간 발전소 88곳 등 101곳에 대한 출력제어 조치가 시행됐다.
이날 생산이 중단된 태양광발전소 설비 용량은 90㎿다.
이는 지난달 말 기준 제주에서 가동 중인 태양광발전소 전체 설비 용량 491.8㎿의 18.3% 수준이다.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전날(27일) 한낮 날씨가 좋아 태양광발전소에서 전력이 사용량보다 과잉 생산돼 정전이 우려되면서 이러한 조치가 이뤄졌다"고 말했다.
현재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에서 전기가 초과 생산되고 있지만, 남는 전기를 처리하지 못하면서 출력제어 조치가 시행되고 있다.
초과 공급된 전기를 전력망에 그대로 흘려보내면 전력망에 과부하가 발생하고 심하면 정전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초과 생산 전력을 보관하는 기술은 현재 상용화되지 못했다.
앞서 지난해 10월 17일과 지난 6일에도 도내 태양광발전소에 대한 출력제어가 시행된 바 있다.
당시 생산이 중단됐던 태양광발전소의 설비 용량은 각각 19.6㎿와 20㎿로, 이번처럼 태양광발전소가 무더기로 가동을 중단한 것은 사실상 처음이다.
dragon.m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