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가축 분뇨·악취 등으로 부정적 인식이 강한 축산업을 혁신하기 위해 기업의 첨단기술을 접목한다. 기후변화와 탄소중립, 디지털 전환 등 산업환경 변화에 맞춰 축산업의 성장동력을 새로 창출하기 위한 전략이다.
최근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협동조합중앙회, SK인천석유화학과 함께 ‘환경친화적 축산업 모델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3개 기관은 농축산분야 생산성 향상과 가축분뇨 등 유기성폐자원 등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생산 확대 등을 위해 협력해 간다는 계획이다.
축산업은 그동안 꾸준한 성장을 통해 농촌 경제에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됐지만, 가축 분뇨 및 악취 등으로 인한 민원이 끊이지 않는 분야였다.
실제 소·돼지 등에서 발생하는 분뇨량은 2016년 4699만t에서 2017년 4846만t, 2018년 5101만t, 2019년 5184만t, 2020년 5194만t 등으로 증가했다. 축산 악취로 인한 민원도 2014년 2838건에서 2020년에는 1만4345건으로 급증했다.
이 때문에 축산 분뇨로 인한 온실가스, 악취를 줄이는 환경친화적 전환은 축산업의 미래 성장을 위한 필수적인 요인이라는 지적이 이어졌다.
이에 정부는 국내 대표 에너지 기업인 SK인천석유화학과의 업무협약을 계기로 민간 기업의 첨단 융복합기술을 축산업에 접목한다는 계획이다. 정보통신기술(ICT)과 사물인터넷(IoT)에 기반한 환경관리와 가축분뇨를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사업 확대를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축산 전환과 신재생에너지 생산 촉진을 위한 제도적·재정적 지원(농식품부) △지역 농축협을 중심으로 실증 시범사업 추진(농협) △스마트 제어 및 에너지 효율화 공정기술 등 지원(민간) △기업 기술의 축산업 현장 접목을 위한 기술개발(농촌진흥청) 등이다.
현재 전국 88개소의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시설 중 메탄가스를 발생시켜 전기를 만드는 에너지화 시설은 8곳에 그친다.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이들 공동자원화시설의 에너지화 시설 전환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운영기술 확보 등의 문제로 추진이 미진한 상태다.
정부는 이번 협약을 통해 장기적으로 축산시설의 스마트 전환을 위한 지원사업을 펼친다는 계획이다. 기존 축사를 스마트시설로 전환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의 70%는 정부와 지자체의 보조를 받을 수 있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ICT 등 민간기업이 발전시켜온 기술을 농축산업 문제 해결에 접목해 농축산 분야의 신재생에너지 전환 및 스마트 농축산업 체계를 적극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