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미
- <iframe width="760" height="560" src="https://www.youtube.com/embed/bDp_UBovguQ?list=RDCMUCR1DO0CfDNPVdObksAx508A"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다음 불로그
- Today
- Total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 나랏빚 첫 40%대, 돈 푸는 경기부양 한계 왔다 본문
나랏빚 첫 40%대, 돈 푸는 경기부양 한계 왔다
국가채무 경고등 .. 50조 늘어
645조경기 살리자니 나랏빚 늘어나고 재정건전성 강조하면 경기 침체
최경환 "둘 사이 고심한 예산안"지속 성장 위해 구조개혁 시급
중앙일보 하남현 입력 2015.09.09. 02:17 수정 2015.09.09. 07:58
‘경기 부양과 재정 건전성 유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튀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하는 내년 예산안의 고민이다.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취임 후 금리 인하와 재정지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경기 회복세는 미약하다.
여기에 중국의 경기 둔화와 미국 금리 인상 가능성이란 악재도 도사리고 있다.
경기만 본다면 적극적인 재정의 역할이 절실하다. 그러나 나랏빚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내년도 나랏빚은 올해보다 50조원 넘게 늘어난 645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40.1%)이 사상 처음 40%대에 진입한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은 2009년 이 비율이 30% 선을 넘은 지 7년 만이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심 끝에 전년보다 지출 총액은 늘리되 증가 폭은 줄인 ‘절충점’을 찾았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내년 예산(총지출 기준) 증가율은 3%로 올해(5.5%)보다 낮다. 2010년(2.9%) 이후 6년 만에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그러나 총수입 증가율(2.4%)보다는 총지출 증가율이 높아 긴축이 아닌 ‘확장 예산’으로 분류된다.
최 부총리는 “경기 활성화와 재정 건전성 사이에서 어떻게 균형을 찾을 것인가 고민한 예산”이라며
“경제가 어려울 때는 일시적 재정수지 악화를 감안하더라도 경제를 살려야 재정 건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내년 총수입 중 국세 세입예산은 223조1000억원으로 지난해(추가경정예산 포함)보다 3.4% 늘어나는
것으로 예상했다. GDP 성장률에 물가상승률을 더한 경상성장률을 4.2%로 가정해 산출했다.
올해 예산 편성 시 정부가 추정한 경상성장률 6.1%보다 1.9%포인트 낮다.
세수 전망을 보수적으로 잡아 ‘세수 결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빠듯한 살림살이 내에서 경기 부양과 재정 건전성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다 자칫
다 놓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가 지갑을 닫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얘기다. 이상빈 한양대 경영학부 교수는 “소비와 투자 모두
침체된 상황에서 정부 재정지출을 줄일 때가 아니다”고 말했다.
권태신 한국경제연구원 원장도 “성장률이 2%대로 떨어지면 청년실업이 더 심화할 것”이라며 “일정 부분
재정적자를 감수하고서라도 성장률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그렇다고 재정 건전성을 간과할 수도 없다. 정부는 국가채무를 40%대 초반으로 관리하기 위해
2019년까지 재정지출 증가율을 연평균 2.6% 정도로 억제하기로 했다.
씀씀이를 줄여야 국가채무를 40% 초반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게 정부의 계산이다.
경기 부양을 위한 지출을 늘리기 어렵게 됐다는 얘기다.
지출을 늘리는 데 한계가 있는 만큼 효율성을 높이자면 구조 개혁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경수 성균관대 경제학부 교수는 “저성장에 직면한 일본이 재정지출을 마구 늘리다 국가채무만 눈덩이
처럼 불리고 디플레이션 늪에 빠졌던 전철을 간과해선 안 된다”며 “성장률에 과도하게 집착해 예산을
쓰기보다는 구조 개혁을 통해 성장을 이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진권 자유경제원 원장도 “노동개혁과 같은 구조 개혁에 초점을 맞춰야 장기적으로 재정 건전성을
유지하면서 성장을 지속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남현 기자 ha.namhyun@joongang.co.kr
'헤비급'된 나랏빚… GDP 대비 40% 첫 돌파
총수입 보다 총지출 증가폭 더 커
국가채무 비율 가파르게 상승
'北위협 대응' 국방 지출 4% 증액
경기 둔화 탓에 나라가 버는 돈(총수입)보다 쓰는 돈(총지출)의 증가폭이 더 커지게 되면서,
내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사상 처음으로 40%를 넘는다.
내년 정부예산(총지출 기준)은 올해보다 3.0% 늘어난다.
부문별로 일자리 예산이 12.8% 늘어나는 등 보건ㆍ 복지ㆍ노동 쪽 지출이 크게 늘고,
북한 위협 대응 차원에서 국방 쪽 지출이 상당폭 증가했다.
정부는 8일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서울ㆍ세종청사에서 영상국무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을 담은
2016년 예산안을 확정하고 11일 국회에 제출하기로 했다.
정부가 짠 내년 예산안에서 총지출은 올해(375조 4,000억원)보다 3.0% 증가한 386조 7,000억원으로
확정됐다. 3.0%의 증가율은 2010년 2.9%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다만 정부는 “올해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포함할 경우 실질적으로 내년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재정의
총량은 올해 보다 5.5% 늘어난다”고 설명했다.
반면 총수입은 391조 5,000억원으로 올해보다 2.4% 증가하는데 그친다.
특히 내년 국세수입(223조 1,000억원)은 올해보다 0.9%만 늘게 될 전망이다.
지출 증가를 억제했음에도 수입 증가 속도를 넘어서면서, 재정수지 적자폭은 올해 GDP 대비 2.1%에서
내년 2.3%로 확대된다.
총수입 증가가 미미하고 적자 폭이 더 커지는 이유는 경제 환경이 더 어두워진데다 세수의 기반이 되는
성장 전망을 현실화했기 때문이다.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내년 실질 성장률 전망치를 당초 3.5%에서 3.3%로 낮추고
물가상승률을 0.9%로 책정한 4.2%의 경상 성장률을 예산안에 반영했다”고 밝혔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내년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40.1%를 기록할 것이라는 점이다.
나랏빚 비율 40%는 지금까지 정부의 어떤 재정추계에서도 나오지 않았던, 내년 예산안에서 최초로
등장하는 숫자다.
정부 예측대로라면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2018년 41.1%까지 올라간다. 그간 국가채무 비율을
30%대 중반 수준에서 관리해오겠다고 누누이 밝혀왔던 정부의 공언이 1년 새 대폭 후퇴한 것이다.
방문규 기재부 2차관은 “40%를 돌파한 것은 재정당국으로서 송구스럽다”면서도 “세계적 경기 둔화에
대응하려면 30%대만 고집할 수는 없으며 40%대 초반 정도면 세계에서 가장 안정적인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내년 예산안에서 총지출 증가분은 주로 보건ㆍ복지ㆍ노동(122조 8,828억원ㆍ6.2% 증가), 문화ㆍ체육ㆍ
관광(6조 5,780억원ㆍ7.5% 증가), 국방(38조 9,556억원ㆍ4.0% 증가) 쪽에 집중됐다.
특히 정부 핵심사업인 청년일자리 사업 확충에 예산이 집중 편성되면서, 일자리 예산만 15조 8,000억원
으로 지난해보다 12.8% 늘었다.
대신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은 작년보다 6.0% 줄어든다.
세종=이영창기자 anti092@hankookilbo.com
'🚦🚦 수리.생활경제(금융.보험.조세.주식.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콩ABS, 무궁화3호 위성 헐값에 사 연간 150억원 수익" (0) | 2015.09.14 |
---|---|
* 우리나라 시.군.구 30곳 외국인주민 비율 5% 넘어..영등포 17.5% (0) | 2015.09.09 |
[단독]가장 오래된 한민족 얼굴은 ‘상투 튼 고조선인’ (0) | 2015.09.08 |
* ‘임원진 희생’으로 위장한 삼성중공업의 ‘책임경영’ (0) | 2015.09.08 |
★ “양치기 소년의 거짓말도 두 번이 끝이었다” (0) | 2015.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