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다음 불로그
- <iframe width="760" height="560" src="https://www.youtube.com/embed/bDp_UBovguQ?list=RDCMUCR1DO0CfDNPVdObksAx508A"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미
Archives
- Today
- Total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김관용의 軍界一學]문민통제 시대인데…국방차관 軍 서열 논란 여전 본문
[김관용의 軍界一學]문민통제 시대인데…국방차관 軍 서열 논란 여전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청와대가 정부부처 차관급 인사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총선 출마 희망자 뿐만 아니라 문재인 정부 출범 초부터 지금까지 자리를 지키고 있는 차관들이 대상입니다. 이른바 ‘장수 차관’ 중 한 명인 서주석 국방부 차관도 인사 대상자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서 차관은 문재인 정부 첫 국방장관인 송영무 전 장관 보다 앞서 제42대 국방차관에 발탁돼 먼저 업무를 시작했습니다.
서 차관은 참여정부 당시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 수석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전략기획실장 등을 역임했습니다. 이같은 이력으로 그는 처음부터 문재인 정부 첫 국방차관으로 유력시 됐던 인물입니다.
역대 국방차관은 2명의 차관을 뒀던 10대와 11대를 포함해 총 44명입니다. 현(現) 서 차관과 6.25전쟁 이후 단 10일만 재직했던 강영훈 제4대 차관을 제외한 역대 42명의 차관 평균 임기는 21개월 정도입니다.
역대 국방차관은 2명의 차관을 뒀던 10대와 11대를 포함해 총 44명입니다. 현(現) 서 차관과 6.25전쟁 이후 단 10일만 재직했던 강영훈 제4대 차관을 제외한 역대 42명의 차관 평균 임기는 21개월 정도입니다.
비(非) 군인 출신으로는 17번째 국방차관에 발탁된 서 차관은 지난 2017년 6월부터 23개월째 차관직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후임 국방차관으로는 국방부 본부 문민화 기조에 따라 민간공무원의 내부 승진이 점쳐지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여성 국방차관 발탁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
|
◇국방차관 직무대리 논란, 유사시 軍 지휘 문제
다시 돌아가서, 국방장관 유고시 차관의 직무대리 논란은 시급히 정리돼야 할 사안입니다. 단순히 의전이나 서열 문제가 아니라 유사시 군을 누가 지휘할 것이냐의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다시 돌아가서, 국방장관 유고시 차관의 직무대리 논란은 시급히 정리돼야 할 사안입니다. 단순히 의전이나 서열 문제가 아니라 유사시 군을 누가 지휘할 것이냐의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이같은 논란을 근본적으로 없애려면 정부조직법과 직무대리규정의 관련 내용을 국군조직법에도 포함시키면 됩니다.
국방부장관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으면, 부기관장인 차관이 장관의 모든 권한을 대행하며 그에 따른 책임도 진다는 내용을 국군조직법에 규정하는 것입니다.
국회 입법조사처도 지휘 체계 상 서열과 예우기준의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 국군조직법을 개정해 차관의 권한을 명확히 하고, 합참의장 및 각 군 참모총장 등 대장급 장교를 장관급에서 차관급으로 조정해서 예우하는 방안을 제시한바 있습니다.
그러나 문민통제 원칙 등을 감안하면 굳이 그런 규정을 만들 필요가 있을까 합니다.
그러나 문민통제 원칙 등을 감안하면 굳이 그런 규정을 만들 필요가 있을까 합니다.
국방차관의 의전 서열을 직무상 서열에 맞추다보면 다른 부처 차관과의 형평성 논란 등 여러가지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단적인 예로 현재 국가의전서열에 따르면
국방부 장관이 22위이고 합참의장부터 육·해·공군참모총장, 육군지상작전사령관, 육군 제2작전사령관,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등 4성 장군들이 64~70위까지, 해병대사령관이 71위인데
차관 서열을 이들 수준으로 올린다는건 현실적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의전 서열이 직무상 서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받아들이면 됩니다.
따라서 의전 서열이 직무상 서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받아들이면 됩니다.
국방부 장관 부재시 국방부 차관이 국회에 대리 출석하는 것에 대해 군 내 서열을 거론하며 지적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병사 출신 차관이 어떻게 군을 지휘하느냐”는 인식은 군에 대한 문민통제 원칙을 이해하지 못한 것입니다.
|
'🌱 Ador 사색. 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옵아트 (0) | 2019.05.28 |
---|---|
요양보호사 자격증 따려는 사람들의 공통관심사 (0) | 2019.05.26 |
레플리카시계 쇼핑몰, 이런 업체는 반드시 피해야한다 (0) | 2019.05.19 |
활짝 핀 이팝나무꽃 아래서.. [포토뉴스] (0) | 2019.05.15 |
노인을 위한 나라도 있다? IT와 시니어 산업의 만남 (0) | 2019.05.09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