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 ‘ESG 양적 완화’ 최초로 제안한다② [더나은 세계, SDGs] (186) 본문

🚦🚦 수리.생활경제(금융.보험.조세.주식.부동산)

☕?? ‘ESG 양적 완화’ 최초로 제안한다② [더나은 세계, SDGs] (186)

Ador38 2021. 6. 21. 12:12

황계식 

2021.06.21. 10:00

"동식이 형, 안녕" 쿠팡 화재 순직… 김동식 구조대장 눈물의 영결식

‘코로나 세균 배양접시’라던 크루즈… 15개월만에 마이애미에서 운항 재개

© 제공: 세계일보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주식시장 지표가 일제히 하락했다. 뉴욕 증시에서 ‘우량주 클럽’인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 거래보다 533.37포인트(1.58%) 내린 3만3290.08로 마감했고, 대형주 중심의 S&P500 지수도 전날보다 55.41포인트(1.31%) 내린 4166.45로 장을 마쳤다.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의 발언이 지수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는 게 일반적인 평가다.

 

불러드 총재는 이날 CNBC 방송의 ‘스쿼크 박스’(Squawk Box)에 나와 “인플레이션이 애초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면서 내년 말 금리 인상이 시작될 것”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연준이 이번주 다소 ‘매파적’으로 기운 것은 당연하다”며 “내년 말 금리 인상이 시작될 것으로 본다”고 거듭 전망했다. 

 

그는 현재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서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는 투표권이 없지만, 내년에는 가지는 만큼 불러드 총재의 발언에 시장은 즉각 반응했다.

 

특히 그는 연준에서 금리 인상과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대표적인 비둘기파로 꼽혀왔기 때문에 불러드 총재의 발언은 적지 않은 파장을 일으켰다. 미 월가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 옵션 거래소 변동성지수(VIX)도 16.62% 오른 20.70까지 수직 상승했다.

 

연준은 지난해 3월부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자금 부족을 겪는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연말까지 회사채 137억7000만달러(약 15조원) 등을 매입하는 양적 완화(QE) 정책을 단행했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지난해 사들인 회사채와 상장지수펀드(ETF)를 연말까지 매각하겠다”고 공개적으로 밝히며 테이퍼링(QE 축소)을 시사한 바 있다.

 

QE와 인플레라는 양날의 검을 대하는 시장의 고민은 간단치 않다. 더욱이 조 바이든 행정부가 오는 2050년까지 온실 가스 배출량을 ‘넷 제로’(Net Zero·순 배출량 0으로 탄소 중립을 의미)로 하기 위해 10년간 1조7000억달러(약 1906조원)를 투자하고, 청정 에너지의 100% 확대와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에 2조달러(약 2243조원),

 

그리고 청정 에너지의 연구·개발(R&D)에는 4년간 4000억달러(약 449조원)를 각각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만큼 대규모 경기 부양과 막대한 재정 투입을 앞둔 상황이다.

 

미국의 금융정책은 당연히 우리나라 시장에도 영향을 미친다. 미 달러가 기축통화이기 때문이다. 앞서 연준이 세계보건기구(WHO)의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사태 선언 직후 금리를 인하하고 추가 QE를 단행했을 때 유동성이 풍부해지면서 신흥국으로 달러가 흘러들었고, 그 결과 우리나라 원화도 강세를 보였다.

 

달러 환율은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일반적인 금융변수에 비해 큰 편이기 때문에 미국의 QE 또는 금리 인상에 한국도 선제 대응할 수밖에 없다. 한국은 이미 1999년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사태 때 투자 시점보다 자본의 회수가 빠르게 일어나는 한편 환율 가격과 변동성이 비대칭적으로도 커졌던 상황을 경험한 바 있다.

 

QE는 경제성장과 인플레를 가늠하면서 적절한 시점에서 양자택일해야 하는 정책이다. 다만 세계 금융위기 또는 코로나19 사태 같은 전 세계적 위기상황에서는 이러한 상황 자체가 상수(constant·常數)가 됨으로써 어떤 정책도 섣불리 선택하기 힘들게 된다. 

 

현재도 이러한 상황에 처해 있으며, 이를 해소할 부분적 대안으로 ESG(Environment 환경·Social 사회·Governance 지배구조) QE를 제안한다.

 

통화 당국이 녹색채권(GB), 주택저당유동화증권(MBS)을 포함한 사회적채권(SB), 기후대응채권(CB) 또는 지속가능채권(SLB)을 매입하자는 게 그 내용이다.

 

아직 유럽연합(EU)과 미국을 뺀 국가에서는 관련 내용이 논의된 바 없다. 다만 ESG 채권이 사실상 전 세계 투자자들과 연계되며, 국제 기준 즉 국제자본시장협회(ICMA)에 의해 발행된다는 점에서 기축통화 국가만 매입할 수 있다는 논리는 설득력이 부족하다. 

 

2019년 9월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는 유럽의회 경제통화위원회에 출석해 “ECB는 특정 영역을 지원하는 것을 금지하는 시장중립성 원칙으로 인해 친환경 자산부터 브라운 자산(온실 가스 배출이 많은 기업이 발행한 채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자산을 매입해서 보유하고 있지만, 앞으로 기후변화 위험성을 고려해 QE 과정에서 그린본드를 집중 매입하는 방식을 고민하겠다”며 포괄적으로 ESG QE를 언급한 바 있다.

 

실제 이를 시행한 국가도 있는데, 지난해 11월 스웨덴 중앙은행 릭스방크(Riksbank)는 코로나19 2차 팬데믹에 대응하기 위해 자산매입 규모를 5000억크로나(SEK)에서 7000억크로나로 확대하면서 “국채뿐만 아니라 정부와 지방정부가 발행하는 녹색채권도 함께 매입하겠다”고 밝혔다.

 

여기서 핵심은 매입할 녹색채권과 관련해 “지속가능성을 위한 국제 기준과 규범을 준수하는 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만 대상으로 하겠다는 것”으로, 기존 QE와 다르게 ‘국제 기준’으로 발행되는 채권을 언급했다는 게 눈에 띈다. 

 

미국 역시 이미 2012년 사회적 채권의 일종인 MBS(Mortgage Backed Securities)을 사들이고, 연 0% 수준의 기준금리를 2015년 중반까지 유지하는 3차 양적 완화(QE3)를 단행하면서 넓은 의미의 ESG QE를 실천 방안에 담은 바 있다.

 

세계적으로 적은 사례가 손꼽히긴 하지만, 한국이 아시아의 그린 뉴딜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또 막대한 재정이 동반되는 그린 에너지로 대전환을 이루기 위해 ESG QE를 검토해 볼 것을 제안한다. 이달 들어 상장 잔액이 122조4000억원에 이르고 무려 111개사가 참여한 한국의 ESG 채권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주목받는 시장이기 때문이다.

 

김정훈 UN SDGs 협회 사무대표 unsdgs@gmail.com

 

*이 기고는 유엔 경제사회이사회 특별협의지위기구인 UN SDGs 협회와 세계일보의 제휴로 작성되었습니다.

 

많이 본 뉴스

숫자 ‘13’은 불길해서…애플 ‘아이폰13’ 대신 다른 이름 쓰나

중앙일보

    •  

통신사도 ‘보복 여행’에 웃는다…달아오르는 ‘로밍’ 경쟁

중앙일보

    •  

에디슨, 프렌즈 나들이 육아템 ‘라이브커머스’ 진행

경향신문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