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 ◑◐ 우리 아이 공부하게 만드는 말도 있을까? 본문

🤴 한국 한국인,역사문화유적,교육.

?? ◑◐ 우리 아이 공부하게 만드는 말도 있을까?

Ador38 2021. 8. 24. 11:39

2021.08.24. 08:40

다음달부터 사회보장급여 신청자에 ‘맞춤형 급여 안내’

백신 접종 QR코드 문신한 이탈리아 男 "매번 휴대전화 꺼내기 귀찮아서"

© 제공: 한겨레

 

자녀에게 ‘잔소리’가 아니면서도 공부를 하게 하는 말들이 있을까? 전문가들은 ‘있다’고 입을 모은다.

김현수 정신과 전문의는 책에서 “자녀에 대한 총 꾸중양이 총 칭찬량을 넘어서면 아이들은 잘될 수 없다”며 공부 동기를 강화하는 대화법을 제안한다.

 

그 원리 역시 아이의 마음을 헤아려주고 공감해주고 생각을 물어주는 것이다.

“그것도 못해?” 대신 “그게 좀 어렵지?”라고 말해주고,

“지겹니?” 대신 “반복이 지루하지?”, “잘 못할 거 같아?” 대신 “하는 것이 걱정이 되는가 보구나”라고 헤아려주는 것이다.

 

“하기 싫어?” 대신 “어떤 게 어렵니?”, “재미없니?” 대신 “어디서 흥미가 줄어드니?”,

“왜 안 했니?” 대신 “하려고 하는 마음을 무엇이 방해했니?”라고

개방형 질문으로 아이의 생각을 물어주면 아이는 존중받는 느낌을 받으면서 문제를 스스로 고민하게 된다.

 

이 제안하는 ‘육하원칙’ 질문법은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쉬운 방법이다. 자녀가 공부나 숙제를 하기 싫어할 때 “왜 하기 싫을까?” “어떻게 하면 좋을 거 같아?” “언제 하고 싶을 거 같아?” “어디서 하면 좋을 거 같아?” “지금은 무엇을 하고 싶어?” 등 육하원칙을 활용해 질문하면 자녀에게 존중받는 느낌을 주면서 자기주도적인 공부로 나아가게 만든다.

 

도 질문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좋은 질문은 아이가 선택하게 하며, 그 선택이 동기가 되어 아이는 열심히 하게 된다”는 거다. 아이나 어른이나 자신이 선택한 일을 할 때 가장 즐겁게 할 수 있다.

 

공부 역시 남이 시켜서 하는 게 아니라 자신이 스스로 하는 거라고 생각할 때 더 주도적으로 할 수 있는데, 이때 부모의 말이 아이로 하여금 자율성과 주도성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이 또한 그렇게 어렵지 않다. “너 숙제 안 하니?” 대신 “몇시에 숙제하고 싶어?”라고 물어주는 게 자율성과 주도성을 주는 질문법이다. 김아리 객원기자

 

© 제공: 한겨레

© 제공: 한겨레

© 제공: 한겨레

 

많이 본 뉴스

당정 "소상공인 희망회복자금 추석 전 90% 지급... 내년 예산 604조 원 확정"

한국일보

"교차접종 안 되는데"… 강릉서 40명 백신 오접종

한국일보

靑 시민참여비서관에 '문 대통령 의원회관 멤버' 강권찬

한국일보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