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미
- 다음 불로그
- <iframe width="760" height="560" src="https://www.youtube.com/embed/bDp_UBovguQ?list=RDCMUCR1DO0CfDNPVdObksAx508A"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Today
- Total
목록📡 4차산업.보안.특허.AI.IT/🔄 우주,재료,기계,생명공학.해양자원... (1657)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어제 오전 10:16 인류는 지금껏 화성에 여러 대의 탐사 로버를 착륙시켜 생명체의 흔적을 끈기있게 탐색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그에 대한 어떤 증거도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한 연구원은 앞으로 25년 안에 태양계 밖의 외계행성에서 생명체의 증거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다. 25년 안에 외계 생명체를 찾아낼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우리은하 안에는 수천억 개의 외계행성이 존재하며, 그중에는 생명체가 서식할 만한 행성도 적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ESA/Hubble, N. Bartmann© 제공: 서울신문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과대학의 천체물리학자인 사샤 칸츠는 최근 대학의 새로운 '생명의 기원과 유포 센터' 개소식에서 이 같은 선언을 했다. 9월 2일 언론 브리핑에서 칸츠는 현재 진..

곽노필 - 어제 오후 1:00 중국이 달에서 새로운 광물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중국이 달에서 발견한 새 광물 ‘창어석’의 실측 컴퓨터단층촬영(CT) 사진. 인민일보 웹사이트에서 인용© 제공: 한겨레 중국국가우주국(CNSA)과 중국원자력청(CAEA)은 2020년 무인 달 탐사선 창어 5호가 가져온 달 암석 표본에서 새로운 광물을 발견하고, 이 광물에 ‘창어석’(嫦娥石)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지난 9일 밝혔다. 국가우주국에 따르면 이 광물은 국제광물학협회(IMA) 신광물명칭분류위원회CNMNC)에서 투표를 통해 새 광물로 확정됐다. 광물의 영어 명칭은 ‘체인지사이트-와이’(Changesite-(Y))로 정해졌다. 중국 언론은 이 광물은 인류가 달에서 발견한 여섯번째 새로운 광물이며, 이로써 중국은 미국과 옛..

권희원 - 3시간 전 전기로에서 1.0GPa급 고급 판재 생산 성공 현대제철의 1.0GPa급 저탄소 판재가 적용된 자동차 부품© 제공: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권희원 기자 = 현대제철[004020]이 생산 과정의 탄소 배출량을 크게 줄인 '저탄소 고급 판재' 시험 생산에 성공했다. 현대제철은 세계 최초로 전기로를 활용해 1.0GPa(기가파스칼·단위면적당 100㎏의 하중을 견디는 강도)급 고급 판재 시험 생산과 부품 제작에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현대제철은 미세 성분을 제어할 수 있는 특수강 전기로 정련 기술과 자동차용 초고장력강 압연 기술을 활용해 기존 전기로에서는 생산할 수 없었던 고급 판재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저탄소 판재는 고로에서 철광석과 석탄을 환원시켜 만든 쇳물 대신 전기..

기자명김형자 과학칼럼니스트 입력 2022.09.08 09:00 지난해 11월 23일 NASA의 다트 우주선이 스페이스X의 팔콘9 로켓에 실려 우주로 발사되고 있다. 다트는 오는 9월 26일 소행성 디모르포스와 충돌해 궤도를 바꾸는 시도를 한다. photo 뉴시스 오는 9월 26일 오후 7시14분(이하 현지시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다트(DART)’ 미션이 본격적으로 진행된다. 우주선 ‘다트(DART)’와 소행성 디모르포스가 충돌해 소행성의 궤도를 바꾸는 작업이다. 작은 소행성이라도 지구와 충돌하면 인류를 비롯한 대부분의 생명체가 멸종될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지난해 11월 23일 우주선 다트를 쏘아 올렸다. 10개월 항해 끝에 목적지에 도착하는 다트는 과연 소..

기자명김회권 기자 입력 2022.09.12 18:00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의 케네디 우주 센터 39B 발사대에 서 있는 아르테미스 로켓의 모습. photo 뉴시스 아르테미스 1호는 원래라면 플로리다에 있는 NASA 케네디 우주 센터의 발사대 39B에서 9월 3일 오후 2시 17분(현지 시간) 발사될 예정이었지만 또 한 차례 미뤄지게 되었다. 새로 확정된 발사 예정 시간은 9월 19일이다. 계획대로라면 아르테미스 1호의 총 비행시간은 37일 23시간 53분, 여행 거리는 210만km에 달한다. 아르테미스는 달 탐사를 또 한 번 실현하려는 계획이다. 인류는 1972년 아폴로17호 이후 달에 이별을 고했다. 하지만 나사는 다시 달 탐사를 시작하기로 했다. 2025년 이후에는 여성과 남성 우주비행사의 ..

기자명김효정 기자 입력 2022.09.12 13:00 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톡(으)로 기사보내기 URL복사(으)로 기사보내기 0 다른 공유 찾기 지난 8월29일 미국 플로리다 케네디우주센터 발사대에 서 있는 우주발사시스템(SLS)의 모습. photo AP 50년 만의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 ‘아르테미스 Ⅰ’ 임무 수행을 위한 로켓 발사가 또 실패함에 따라 인류 달 탐사의 역사에 다시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현지시간 3일, 아르테미스 Ⅰ 미션 로켓인 ‘우주발사시스템’(SLS) 엔진 하단부에서 연료가 누출되는 것을 감지해 카운트다운을 중단했다고 밝혔다. 이번 발사는 두 번째 시도였다. 앞서 NASA는 지난달 29일 ..

안태호 - 6시간 전 “재활용 원료라고 봐주는 거 없습니다. 폐배터리에서 나온 원료여서 품질이 떨어질 거라고 보는 분들이 있는데, 스펙(고객 요구조건)이 안 맞으면 고객이 받아줄 리가 있겠습니까. 일반 광산에서 캐낸 원료와 동일한 품질의 도시광산 원료입니다. 판매가도 국제 시세대로 받습니다. 재활용 가격이 따로 있지 않아요.”(정원철 성일하이텍 제조총괄) 지난 7일 성일하이텍 폐배터리 해체공정 한쪽에 보관된 원통형 폐배터리 모습. 구멍을 뚫어 방전시켰다. 전력이 남아있을 경우 화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해체하기 전 방전 과정을 거친다.© 제공: 한겨레 폐배터리 재활용 기업 성일하이텍은 최근 얼어붙은 증권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주식시장에 상장해 주목받는 회사다. 상장 뒤 주가도 급등세다. 주가는 8일 기준..

조회수 150,928회 2022. 9. 9. 3천싫어요공유오프라인 저장저장 MTN 머니투데이방송 구독자 89.8만명 ?? 직장인들이 밥값 아끼는 스마트한 방법 (https://bit.ly/3wmBCis) -------------------------------------------------------------------- '배터리의 쌀'이라 불리는 리튬 가격이 고공행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리튬 상승으로 인한 우려와는 달리, 국내 배터리 업체가 오히려 수혜를 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3일 한국광해광업공단 한국자원정보서비스에 따르면 지난 1일 탄산리튬 가격은 1kg당 475.5위안입니다. 지난달 24일 경신한 사상 최고가를 유지 중이며, 1년 전보다 4배 이상 뛴 가격입니다. 리튬은 배터..

9시간 전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우리나라가 ‘누리호’ 발사에 성공하며 우주발사체 기술을 확보했지만 향후 우주산업 개발의 핵심인 재사용 발사체 기술은 아직 갈 길이 먼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민간 우주업체 스페이스X의 발사체 기술을 따라잡으려면 앞으로 20년은 더 걸릴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단독]韓 발사체 재활용 기술, 美 추격에 20년 걸린다[과학을읽다]© 제공: 아시아경제 ◇우주발사체 기술 확보했지만 7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에 따르면, 지난 8월 이기주 책임연구원 등 KARI 연구팀은 ‘발사체 재사용 기술 확보를 위한 탐색 연구’ 논문을 발표해 이 같은 분석 결과를 내놨다. 논문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적으로 ‘뉴 스페이스’ 시대를 맞아 비용을 낮춰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재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