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 전세계 0.000001% 부자의 금욕적인 생활습관들 본문

🌱 Ador 사색. 도서.

* 전세계 0.000001% 부자의 금욕적인 생활습관들

Ador38 2019. 11. 23. 10:40
* 전세계 0.000001% 부자의 금욕적인 생활습관들

머니투데이
  • 권성희 콘텐츠총괄부국장
  • VIEW 81,785
  • 2019.11.23 06:25 
[줄리아 투자노트]
사람들은 성공하면 많은 것들을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성공할수록 욕구를 채우며 사는 것이 아니라 더 자제하고 더 절제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첫째는 많은 돈과 많은 권력에 부합하는 책임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둘째는 작은 욕구들을 만족시키는 것이 더 큰 성공에 방해가 될 수 있어서다. 신생 갑부들이 많은 미국 실리콘밸리에 금욕주의적 생활습관이 유행하는 이유다.

그 중에서도 SNS 트위터와 결제서비스 스퀘어의 창업자 겸 CEO(최고경영자)인 잭 도시는 각종 금욕주의적 습관들로 유명하다.  

그의 이런 행태는 때로 “유별나다”는 비웃음도 사지만 그는 엄격한 수련과도 같은 생활습관들이 자신에게 꼭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2개의 기업을 경영하려면 자신의 능력을 최대치로 이끌어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선 몸은 가볍게, 정신은 맑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도시는 2016년에 자신이 가진 트위터 주식 3분의 1을 직원들에게 나눠주고도 42억달러의 자산을 보유한 전세계 343위(포브스 집계)의 부자다. 0.000001% 안에 드는 부자 도시의 금욕적인 생활습관들을 소개한다, 


잭 도시 트위터 및 스퀘어 CEO, 2019월 1월 'CES 2019' 행사에서 /사진=AFP

잭 도시 트위터 및 스퀘어 CEO, 2019월 1월 'CES 2019' 행사에서 /사진=AFP



1. 하루에 2번 명상하기=도시는 아침과 저녁에 1시간씩 명상한다. 그는 건강 및 운동 전문가인 벤 그린필드와 함께 한 팟캐스트에서 “하루에 2시간씩 명상을 하고 있다”며 “단 10분밖에 시간이 없다면, 때로는 나도 10분 정도밖에 시간을 낼 수 없는데 그 때라도 명상을 한다”고 말했다.

또 자신의 정신건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명상이라며 20여년간 꾸준히 명상을 해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도시는 지난해 미얀마로 10일간 명상 여행을 다녀오기도 했다.

2. 걸어서 출근하기=도시는 2017년부터 날이 좋든 나쁘든 5마일(8km)을 걸어서 출근하고 있다. 출근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1시간15분 가량이다.  

그는 자신이 출근하는 모습이 “아마도 걷는다기보다 조깅하는 것에 가깝게 보일 것”이라며 걷고 나면 “상쾌하다”고 말했다. “살아 있다”는 느낌이 든다는 것이다.

도시는 걸으면서 이것저것 생각하는데 지난해부터 “좀 더 생각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화요일과 목요일에는 퇴근도 걸어서 하고 있다. 

3. 7분 운동=때로 걸어서 출근하지 못하면 7분간 고강도 인터벌(High Intensity Interval) 운동을 한다. 고강도 인터벌 운동이란 고강도 운동을 한 뒤 잠시 쉬거나 저강도 운동을 하고 다시 고강도 운동을 반복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말한다. 

도시는 “개인 트레이너도 없고 체육관에도 가지 않는다”며 집에 있는 붙박이 사이클을 이용해 운동한다고 밝혔다. 

4. 아침에 곧장 냉탕에 들어가기=도시는 “따뜻한 방에서 곧장 차가운 곳으로 나갈 수 있다는 것만큼 나에게 정신적 자신감을 주는 것도 없다”고 소개했다. 

그는 “특히 아침에 따뜻한 이불 속에서 바로 일어나 차가운 냉탕에 들어가면 마음 속에 이런 것(자신감)이 깨어나는데 사소하게 보이지만 상당히 하기 어려운 그 일을 해치우면 거의 모든 일을 다 할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5. 사우나와 냉탕 3번 반복하기=도시는 매일 저녁 때 15분 사우나에 있다가 3분 냉탕에 들어가기를 3번 반복하고 마지막 냉탕욕은 1분만에 끝낸다. 사우나와 냉탕을 오가면 혈액순환에 좋고 땀을 흘려 독소를 배출할 수 있다는 생각이다. 

5. 주중에 하루 한끼 먹기=도시는 저녁만 먹는다. 저녁 식사 시간은 오후 6시30분부터 9시30분 사이다. 그는 하루 한끼만 먹기 시작할 때 첫 2주일간은 힘들었지만 곧 긍정적인 변화가 느껴졌다고 설명했다. 

도시는 “낮에 집중이 훨씬 더 잘 됐다”며 “아침과 점심 식사를 하던 시간에 다른 일을 할 수 있게 되면서 내 하루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잠도 더 잘 자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잠자리에 들면 10분 안에 곯아떨어진다”며 “잠 드는데 걸리는 시간이 짧아졌고 훨씬 깊이 잠든다는 느낌이 있다”고 설명했다.

6. 종종 주말에 단식하기=도시는 “금요일에 저녁을 먹지 않고 토요일에는 전혀 음식을 먹지 않는다”며 “일요일 저녁 식사를 할 때까지 물만 먹는다”고 밝혔다.

또 “처음 단식을 할 때는 환각 상태에 있는 것 같은 이상한 기분이 들었는데 그 다음부터는 우리의 하루가 얼마나 끼니 때마다 먹는 식사 위주로 돌아가는지 분명하게 느껴졌다”고 말했다.

7. 일기 쓰기=도시는 자신의 하루를 휴대폰 노트에 기록한다. 그는 “매일 그 날 일을 기록해두는데 주로 하루를 마무리 하는 저녁 때 한다”며 “이렇게 해두면 나중에 찾아보기도 쉽고 언제나 필요할 때 볼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