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다음 불로그
- 미
- <iframe width="760" height="560" src="https://www.youtube.com/embed/bDp_UBovguQ?list=RDCMUCR1DO0CfDNPVdObksAx508A"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Today
- Total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 명태, 북어, 생태 효능과 부작용, 주의사항 본문
명태, 북어, 생태 효능과 부작용, 주의사항
명태(明太)는 대구과의 바닷다물고기로 대구와 모습이 비슷하지만 더 홀쭉한 편이다. 명태는 북어나 생태, 동태 등등의 다른 이름을 가장 많이 가질정도로 우리에게 친숙한 생선인데, 주로 북태평양의 북부 베링해와 오오츠크해와 한반도 동해에 많이 서식하는 한류성 어종이지만 지구온난화로 인해 우리나라 연안에서는 거의 잡히지 않고 있다. 명태의 학명은 Theragra chalcogramma이다.
![](http://postfiles12.naver.net/20140202_123/dongmu61_1391319670115fMRvS_PNG/%B8%ED%C5%C23.png?type=w2)
명태의 특성
명태는 몸길이가 30~90cm, 몸무게는 600~800g에 이르는 중간크기의 생선으로 예로부터 제사와 고사, 전통혼례 등에 없어서는 안될 귀중한 생선이며, 상태나 잡힌 시기 및 장소, 습성 등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것이 특징이다. 명태는 배쪽은 흰색이고 등쪽으로 갈수록 갈색으로 변하며 수명은 약 12~16년 정도다. 명태는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러시아와 일본의 주요 수산물로 주낙이나 그물을 이용해 잡는다.
![](http://postfiles7.naver.net/20140202_134/dongmu61_1391319688677GesMu_PNG/%B8%ED%C5%C24.png?type=w2)
명태의 어원
[임하필기]라는 책에는 함경도 명천군(明川郡)에 사는 태씨(太氏)인 어부가 물고기를 낚았는데, 그 때까지 이름이 없어서 지명의 명(明)자와 잡은 사람의 성을 따서 명태라고 이름을 붙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http://postfiles14.naver.net/20140202_269/dongmu61_1391319715472mEim9_PNG/%B8%ED%C5%C27.png?type=w2)
명태의 다양한 이름
명태는 다양한 이름을 가지는데, 생태는 싱싱한 생물 상태를, 동태는 얼린 것을, 북어는 말린 것을, 황태는 한 겨울철에 명태를 일교차가 큰 덕장에 걸어 차가운 바람을 맞으며 얼고 녹기를 스무번 이상 반복해 노랗게 변한 것을 다른 이름으로 황태라 말한다. 코다리는 내장과 아가미를 빼고 4~5마리를 한 코에 꿰어 꾸덕꾸덕 말린 것이고, 어린 명태를 노가리라고도 한다. 아래 사진은 노가리 구이다.
명태요리의 종류
명태의 제철은 겨울철인 1~2월이며 명태의 머리, 꼬리, 살, 내장 등은 모두 식재료로 이용된다. 살코기와 곤이는 국이나 찌개용으로 이용되며, 알과 창자는 각각 명란젓, 창난젓으로 이용된다. 명태를 이용한 음식으로는 생태찌개와 생태매운탕, 황태구이, 황태찜, 북어국, 북어무침 등이 있다. 아래 사진은 생태찜이다.
명태의 성분
명태는 수분이 77.5%, 단백질 20.3%, 당질 0.9%, 회분 1.4%, 칼슘 0.1%, 인 0.22%, 철분 0.0042% 들어 있다. 명태는 다른 생선보다 지방함량이 적고 단백질이 풍부하며, 류신과 라이신 등의 필수아미노산이 다양하게 들어있다.
![](http://postfiles1.naver.net/20140202_128/dongmu61_1391319738548KFqlu_PNG/%B8%ED%C5%C25.png?type=w2)
명태의 효능
명태는 간을 보호해주고 숙취를 풀어주고 소변배설을 촉진하며 식욕을 돋구어준다. 또 눈이 침침하고 잘 안보일때 명태를 많이 먹으면 회복이 빨라진다. 명태는 성질이 평하고 치우침이 없어서 한약을 먹을 때도 꺼리지 않는다. 또한 감기 몸살이나 대변에 피가 비칠 때 먹어도 좋고, 코속의 부스럼이나 생인손을 앓을 때에도 명태껍질을 붙이면 효과가 있다. 더구나 명태알로 만든 간유는 눈을 밝게 한다.
![](http://postfiles16.naver.net/20140202_127/dongmu61_1391319772343TLkbe_PNG/%B8%ED%C5%C210.png?type=w2)
명태의 부작용
명태는 성질이 평이해서 치우침이 없기 때문에 너무 많이 먹지만 않으면 별다른 부작용이 없다. 사상의학에서는 명태를 소음인 체질의 음식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소양인은 너무 자주 먹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http://postfiles4.naver.net/20140202_275/dongmu61_1391319798372WHMKt_PNG/%B8%ED%C5%C29.png?type=w2)
명태 복용시의 주의사항
명태는 대구처럼 고깃살이 하얀색이며 열을 가열하면 풀리기 쉬운 특성이 있기 때문에 요리할 자주 뒤적이지 않아야 한다. 북어해장국을 끓일 때는 너무 맵지 않게 끓여야 더욱 효과적이다.
![](http://postfiles6.naver.net/20140202_293/dongmu61_1391319839038O2n3I_PNG/%B8%ED%C5%C28.png?type=w2)
'🥗🥧 식품.조리.레시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올리브유, 감람의 효능과 부작용, 주의사항 (0) | 2014.02.10 |
---|---|
* 대구 효능과 부작용, 주의사항 (0) | 2014.02.10 |
* 흑염소 효능과 부작용, 주의사항 (0) | 2014.02.10 |
* 눈 질병 막으려면 바나나, 노안 막으려면 양배추 먹자 !! (0) | 2014.01.27 |
* 김 한 장에 이런 영양소가.... (0) | 2014.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