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아름다운 因緣이 고이는 방

* 유채 효능과 부작용, 주의사항 본문

🥗🥧 식품.조리.레시피

* 유채 효능과 부작용, 주의사항

Ador38 2014. 2. 10. 12:34

 

유채 효능과 부작용, 주의사항

유채(油菜}는 십자화과의 두해살이풀로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등 지역 분포하며 국내 전지역에 살 수 있지만 제주도를 비롯해서 주로 남부지방에서 재배하고 있다. 유채는 어린 싹을 나물로도 먹고 밀원식물(蜜源植物)로도 키우지만 콩기름 다음으로 유채기름으로 많이 소비되고 있으며, 깻묵은 사료나 비료로 쓴다. 한방에서는 유채의 줄기의 잎, 종자를 약재로 사용하며 한자로는 운대(蕓薹)라고 쓰며, 학명은 Brassica campestris이다. 제주도의 봄은 유채꽃에서 시작되는 듯하다. 아래 사진처럼...

유채의 특성

유채는 키 높이가 1m에 이르고 원줄기에서는 15개 안팎의 1차 곁가지가 나오고, 줄기에는 보통 30∼50개의 잎이 붙는데 길이는 18~25㎝이고 너비는 4~8㎝이며, 잎은 넓은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갈라지지는 않는다. 3월에서 4월에 걸쳐 노란색의 꽃이 피고 지름 3mm 가량의 둥근 공모양의 씨앗이 열린다.

유채의 성분

유채 잎과 줄기에는 약 0.05%의 quercitrinrhk 비타민 K가 들어 있고, 종자에는 40~50%의 지방, 23%의 단백질, crotonyl isothiocyanate를 생성할 수 있는 glucoside가 0.4~0.6% 함유되어 있다. 또한 rutin과 많은 단백질이 들어 있고, 0.5%의 sterol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 β-sitosterol, campesterol, brassicasterol이 가장 많이 들어있다.

유채의 효능

유채는 엉긴 피를 흩어지게 하고 기운순환을 촉진하며 부기를 가라앉힌다. 그래서 토혈이나 유선염, 산후의 복통, 피부염, 화상 등에 효과적이다. 또한 유채기름은 연고기제(軟膏基劑)나 유성주사약(油性注射藥)의 용제나 기계의 윤활유로도 사용한다.

유채의 부작용

유채나 유채기름은 성질이 서늘해서 설사를 자주 하거나 아랫배가 차가운 사람, 전염병 이후나 눈병 환자는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유채는 잎이나 종자 모두 성질이 서늘하기 때문에 소음인 체질은 많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유채 복용시의 주의사항

유채는 끓여서 복용하거나 짓찧어 그 즙을 복용하고, 피부질환에는 달인 물로 씻거나 짓찧어 붙인다. 유채씨앗은 한번에 3그램이나 5그램을 달여서 먹거나 알약, 가루약 형태로 먹는다.

Comments